|
윤영석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특권의식에 사로잡혀 당연히 따라야 할 공항 보안과 안전 이행 절차를 시민의 불편이라는 변명으로 일관했다”고 비판했다. 윤 수석대변인은 “공항 근무자들에게 상처를 주는 김 의원의 행태는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지적했다.
김정화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국회의원의 배지는 국민 위에 군림하라고 준 것이 아니다”면서 “국민들이 하는 만큼의 상식에서 룰을 지키는 국회의원이 되라”고 꼬집었다.
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직원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공항에서 갑질 폭언을 계속하면서 검색에 불응하면 바로 공항경찰이 제압, 체포, 처벌할 수 있게 공항갑질폭언 처벌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오신환 바른미래당 의원은 “보궐선거로 국회에 들어온 지 몇 개월이나 됐다고 어이가 없다”고 일갈했다.
문정선 민주평화당 대변인은 “김 의원의 공항 갑질은 일종의 실패한 특권행사”라고 일침을 가했다. 문 대변인은 “비행기를 타려면 항공권과 신분증을 제시하면 된다. 모든 비행기 탑승자들은 그렇게 룰을 지키고 있다”면서 “국회의원 김정호에게 신분증을 요구하면 갑질이 되는가”라고 따져 물었다.
정호진 정의당 대변인은 “불쾌하고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고 해서 공항공사 사장에게 전화를 할 수 있는 국민은 매우 극소수로 일반 국민들은 상상할 수조차 없다”면서 “평소 국회의원 배지로 신분증 검사도 프리패스 했기에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이 아니냐는 국민들의 따가운 눈초리는 일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 대변인은 “김 의원은 행동은 사회적 상식에 반한다”면서 “특히 평소 소신과 다른 부적절한 처신이란 점에서 국민께 진정어린 사과가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의원은 지난 20일 서울 김포공항에서 신분증을 제시해달라는 직원에게 고압적인 언행을 했다는 주장이 언론을 통해 제기돼 구설에 올랐다. 갑질 논란이 커지자 김 의원은 입장문을 통해 “보안요원의 일방적인 주장을 사실인 것처럼 악의적으로 왜곡했다”면서 “공항 직원에게 결코 욕설을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다만 김 의원은 “당시 상황의 진실 여부를 차치하고 저의 항의가 아무리 정당하다 하더라도 거친 감정을 드러낸 것은 저의 마음공부가 부족한 탓임을 반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인 김 의원은 지난 6월 김경수 경남지사의 지방선거 출마로 공석이 된 김해을 보궐선거에서 당선돼 여의도에 입성한 초선 의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