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교, 병사에 압력 가해 허위자백 종용"
|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김중로 바른미래당 의원은 12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2함대에서 거수자가 도주하는 사건이 발생했다”면서 “경계작전의 문제와 은폐축소, 사건 조작은 물론 병사에 책임 전가까지 자행됐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지난 4일 밤 10시께 경기 평택시에 위치한 해군 제2함대사령부 내 무기고 인근에서 근무초병이 거수자를 발견했다.
해당 병사 두 명은 피아식별을 위해 3회 수하를 했지만 거수자는 이에 불응하고 그 자리에서 도주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의원은 “이후 기동타격대와 5분대기조 등이 투입돼 수색을 진행했지만 거수자를 검거하는 데 실패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그는 “2함대는 정보와 헌병, 안보사 등으로 구성된 부대 내 정보분석조를 투입해 현장을 확인한 결과 사건 발생 3시간여만인 새벽 1시 대공용의점이 없고 내부자 소행인 것으로 결론내렸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2함대에 따르면 거수자 수색 중 부대 골프장 입구 아파트 울타리 아래에서 오리발이 발견됐다”면서 “하지만 골프장 근무자의 것으로 판단해 자체적으로 오리발 조사를 종료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사건이 발생한 지 일주일이 지난 현재까지 거수자 색출에 실패했다”며 “더 큰 문제는 합동참모본부에서 거수자 도주 사태에 대해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거수자 도주 사건과 관련해 사건을 조작한 정황까지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며 “도주자를 찾지 못한 해군 2함대사령부 영관급 장교가 소속 부대 병사에게 압력을 행사해 허위 자백을 하게 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북한 목선으로 동해바다가 뚫린 지 3주도 지나지 않아 서해 평택에서 똑같은 일이 또 발생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김 의원은 “군의 자정능력은 한계를 넘어섰다”면서 “국방부와 청와대 국가안보실 등 국가 안보와 관련된 모든 기관을 대상으로 한 종합적인 국정조사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