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만 최근의 확장적 거시정책 등이 내수 증가로 이어져 내년 한국경제의 성장세는 올해보다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OECD는 19일(현지 시간)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OECD Interim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2.1%로 수정 전망했다.
이는 지난 5월 발표한 경제전망(Economic Outlook) 때 제시한 2.4%보다 0.3%포인트 하향 조정한 것이다.
앞선 작년 11월 전망 때 2.8%를 제시했던 점에 비춰보면 약 10개월 사이에 총 0.7%포인트를 낮아졌다.
내년에는 한국경제가 2.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직전 전망보다는 0.2%포인트 하향 조정된 것이지만, 올해와 비교하면 0.2%포인트 높아질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OECD는 “최근의 확장적 거시경제정책 등이 내년 내수 증가로 이어져 올해보다 내년 성장세가 확대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번에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낮춘 것은 미중 무역갈등 등 전 세계적인 하방 위험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OECD는 “무역갈등 심화 등에 따른 투자심리 약화와 불확실성 확대가 예상보다 오래 지속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OECD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직전 전망치보다 0.3%포인트 낮춘 2.9%로 내다봤다.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3.0%로 직전보다 0.4%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미중 무역분쟁이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0.3∼0.4%포인트 낮출 것으로 봐서다.
올해와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이다.
주요 20개국(G20)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로는 3.1%와 3.2%를 각각 제시했다. 직전 전망보다 0.3%포인트, 0.4포인트 내렸다.
OECD는 일단 하방 위험 요소로 무역갈등을 지적했다. 이는 관광 등 서비스 부문으로 확대될 수도 있으며, 미국의 유럽연합(EU) 등 수입차에 대한 관세부과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했다.
OECD는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4%포인트 낮춘 2.4%로 전망했다. 내년은 0.3%포인트 내린 2.0%로 제시했다.
OECD는 중국의 수입 감소세가 지속 중이며 인프라 투자 증가도 미미한 점도 하방 위험으로 지적했다.
중국은 올해 6.1%, 내년 5.7% 성장할 것으로 OECD는 전망했다. 각각 직전 전망치보다 0.1%포인트, 0.3%포인트 낮아졌다.
정부는 이러한 전 세계적인 하방 흐름 속에서도 최근 한국의 GDP 성장세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올해 2분기 한국의 성장률 1.0%(전기비)는 OECD 국가 중 네 번째로 높았고, G20 국가 중에서는 다섯 번째로 높았다.
한국과 경제 규모가 비슷한 ‘30-50클럽’(1인당 소득 3만 달러 이상, 인구 5천만명 이상) 국가 중에서는 가장 높았다.
한국은 전년 대비 성장률(2.0%)도 높은 수준이라고 정부는 강조했다.
G20 국가 중에서는 다섯번째로 높았으며. 30-50 국가 중에서는 미국(2.3%)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정부 관계자는 “OECD가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을 올해 0.3%포인트 내렸는데 이는 G20 국가 전망치 조정폭과 동일하다”며 “내년의 경우 0.2%포인트 하향조정되지만, G20의 성장률 전망 하락 폭(0.4%포인트)의 절반 수준”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