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정인화 국민의당 의원이 서울시 내 경찰서 31곳 가운데 위원 구성이 비공개된 3곳(구로·송파·성동경찰서)을 제외한 28곳의 경찰발전협의회 의원 구성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직군별로는 서울 내 경찰서 28곳에서 위촉된 총 693명의 위원 중 59.2%에 달하는 410명이 치안정책과 크게 상관없는 직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자영업자가 142명(20.5%)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업 임직원 135명(19.5%), 의료인 133명(19.2%)순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학교·학원가 치안정책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교육종사자 위원은 40명(5.8%)에 불과했다. 법률자문과 관련된 변호사 위원은 23명(3.3%)이다.
경찰서별로는 중랑경찰서가 19명의 위원 가운데 16명(84.2%)으로 개인 자영업자·기업 임직원·의료인 비중이 서울 시내에서 가장 높았다 뒤이어 도봉경찰서가 22명의 위원 중 18명(81.8%), 영등포경찰서가 19명 위원 중 15명(78.9%), 양천경찰서가 27명 중 19명(70.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정인화 의원은 “경찰발전위원회 인적현황을 살펴보면 지역 유력인사만 참가하고 있어 자연스럽게 유착 창구로 변질될 가능성이 크다”며 “지역주민들과 함께 합리적인 치안정책을 만들겠다는 경찰발전위원회 본연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도록 그 구성을 다양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