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15년~2018년 특성화고 시도 유형별 실습실 사고 현황’에 따르면 지난 4년간 특성화고 실습실에서 발생한 사고는 총 1284건이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5년 275건, 2016년 312건, 2017년 321건, 2018년 376건이다. 4년 전과 비교해보면 36.7%가 증가한 셈이다.
사고 유형별로 살펴보면 찔림, 베임이 571건(44.5%)으로 가장 많은 사고유형으로 나타났다. 이어 물체 충돌 222건(17.3%), 화상 206건(16%)순 이었다.
특히 화상 사고는 2015년 37건에서 지난해 72건으로 약 2배가량 늘었다. 방사선이나 유독성 물질에 노출되는 위험한 상황도 매년 발생했다. 전류나 방사선에 노출되는 사고는 15건, 유독성 물질에 노출되는 사고도 5건이나 있었다.
박 의원은 “교육청별로 특성화고 실험·실습실 안전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나 학생들을 보호하기에는 상당히 미흡하다”며 “주기적인 실태조사와 안전점검을 통해 실습실 사고 발생률을 낮추고 학생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