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사안의 발단은 지난해 11월24일 서울시 충정로 KT 아현 지사 건물 지하의 통신구에서 화재가 발생되면서 시작됐다. 이 화재로 서울 한강 이북 서부 지역에서 KT 유선전화, 인터넷, 휴대폰 등이 최대 수 주간 불통돼 지역 소상공인들이 피해를 입었다.
그러자 연합회가 ‘KT 불통 피해 소상공인 신고 천막 센터’를 설치하고 KT의 피해복구 및 성의 있는 피해 보상을 촉구했다. 이후 노 위원장의 적극적인 중재로 지난 1월15일 연합회, KT, 참여연대, 정부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KT 통신구 화재에 따른 상생 보상협의체’가 구성됐다.
연합회는 1000여건의 정보를 취합한 최종 결과를 지난 8월 KT에 전달했고, 연합회의 접수 분까지 합해 총 1만3500건을 접수·처리에 나섰다.
노 위원장은 “이번엔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배상을 한 선례를 남겼다”며 “연합회, KT, 시민단체가 협의체를 구성, 사회적 대타협을 이룬 사례“라고 말했다.
최승재 연합회 회장은 “사회 갈등에 종결을 이름 붙이는 것이 생소한 상황에서 노 위원장과 연합회 등의 노력으로 사태 해결을 이뤘다”고 말했다.
간담회에 참가한 아현시장 상인회 박영안 회장은 “소상공인들을 위해 진심으로 임해준 국회 노웅래 의원장과 인연합회 덕분에 피해 소상공인 대부분이 보상을 받아 큰 위로가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