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트럼프 재선때까지는 협상 적극 나서지 않을 것"
북한 경제상황 나쁘지 않아, 제재 관련 카드는 약해
"한·미 연합훈련 잠정중단 방안 검토 필요"
|
특히 정 본부장은 “외교·안보를 포함한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한반도 비핵·평화 번영 태스크포스(TF)를 정부에 설치해 운영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 본부장은 이날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세종국가전략포럼에서 북·미 비핵화 협상 진단과 해법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정 본부장은 “한국 정부가 비핵화 협상 진전을 이끌 만한 창의적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며 “내년이 북한 비핵화 대화에서 마지막 기회라 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정 본부장은 북한이 연말을 북·미 대화의 시한으로 정하고 미국을 압박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연말이나 내년초까지 북·미 비핵화 대화가 크게 진전되긴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또 정 본부장은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연말 시한’을 앞두고 교착 국면을 보이는 데 대해 보다 효과적인 상응조치를 북한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대북 제재에도 북한이 나름의 경제 성장을 보이고 있어 ‘제재 완화’ 등의 카드로 북한 비핵화를 설득하기엔 충분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정 본부장은 “북한이 한·미 연합 군사훈련에 상당한 위협감을 느끼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정 본부장은 “북한을 비핵화 협상 테이블로 불러오기 위해 내년 상반기 또는 하반기까지 한·미 연합훈련을 잠정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해법을 제시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새로운 길을 갈 수 있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 정 본부장은 “한·미가 연합 군사훈련 잠정 중단 결정을 내린다면 북한이 미국과의 협상을 거부하고 고립적인 길로 가긴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 본부장은 비핵화 상응조치로 거론되고 있는 대북 제재 완화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방안이 아니라고 평가했다.
정 본부장은 “북·중 접경 지역 등에서 현대식 건물이 대규모로 건설되는 것이 확인된다”며 “대북제재에도 북한 경제가 오히려 발전하는 조짐이 보인다”고 분석했다.
정 본부장은 “종전선언과 연락사무소 개설, 대북 인도적 지원 등 기존의 방안을 갖고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부르긴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