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정의 개념 '비핵화' 북 성명에 과민반응 안돼...김씨 일가 전술 도발 예상해야"
|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시아·태평양소위 민주당 간사인 마키 의원은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북한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에 대한 새로운 위반은 갱신된 다자 압박과 규탄에 직면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도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애초에 긴장을 고조시켰던 ‘화염과 분노’의 수사로 다시 돌아가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마키 의원은 이어 “트럼프 행정부는 트럼프가 아직 정의하지 못한 개념인 ‘비핵화’와 관련한 북한의 성명들에 과민 반응을 보여서는 안 된다”면서도 “우리의 전략은 오랫동안 김씨 일가 전술의 일부였던 도발들을 예상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
그러면서 “북한 핵 프로그램의 검증 가능한 동결이 이를 뒤집는 데 대한 가장 좋은 첫걸음”이라고 덧붙였다.
마키 의원은 “새로운 위기는 미국 동맹국들을 훨씬 더 큰 위험에 빠뜨릴 것”이라며 “북한이 계속해 핵무기와 트럼프가 단거리 미사일 시험을 용인함(green-lit)에 따라 미사일 무기고를 강행해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코리 가드너 상원 외교위 동아태 소위원장(공화)은 전날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가 “비핵화가 더이상 협상 의제가 아니다”고 말한 데 대해 “평양의 ‘미치광이’는 국제 안보와 전 세계의 미군 병사들에게 계속해서 위협을 제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성 대사의 발언은 “북한이 핵 야욕을 중단할 의도가 전혀 없었다는 것을 다시 확인시켜 준다”며 “미국이 김씨 정권에 대해 왜 ‘최대 압박’ 정책으로 돌아가야 하는지를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마키 의원과 공동으로 발의한 대북 외교적·경제적 압박을 강화하는 내용의 ‘리드액트’를 미 의회가 조속히 채택할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