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20일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17세 고교생 사망자에 대해 코로나19 검사를 진행하며 다른 호흡기 바이러스 검사도 했다”며 “인플루엔자 등 통상적으로 하는 바이러스 8종에 대한 검사에서도 (양성 반응이) 나온 것은 없었다”고 말했다.
방대본은 이번 17세 고교생 사례가 첫 10대 사망으로 기록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는 판단 아래 질본 외에 서울대병원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서 같은 검체로 동시 교차검사를 실시했고, 그 결과 지난 19일 진단검사관리위원회가 최종적으로 코로나19에 감염된 것이 아니라는 음성 판정을 내렸다.
정 본부장은 전날 방대본이 영남대병원의 17세 사망자 검체 채취 과정에서 잘못된 점이 있었다고 밝힌 것에 대해 해명했다. 정 본부장은 “(어제 브리핑에서) 영남대병원 검사에 이상있는 것 아니냐, 실험실이 오염된 것 아니냐는 등 표현이 있었고, 이에 대한 (병원측의) 문제제기도 나온 것으로 안다”며 “영남대병원 검사가 다 문제가 있다고 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정 본부장은 “(영남대병원 검사 과정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던 (17세 사망자의) 검체 하나는 하나의 유전자에서 약한 반응이 나와 미결정 상태로 보고 확진 (재)검사를 하겠다고 한 것”이라며 “음성 대조군의 PCR(유전자)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보여 양성 대조군 물질이 음성 대조군 물질을 오염시킨 것 아니냐는 절차상의 문제를 말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PCR 검사에서 양성 대조군이 오염돼 검사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일은 자주 있다”며 “정도 관리나 질 관리를 통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