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3주년 기념 특별연설을 한 후 ‘한국판 뉴딜의 디지털경제가 사람들의 일자리를 잃게 만든다는 우려도 있다’는 기자의 질문에 “공감이 가는 지점”이라고 하며 이 같은 취지로 답했다
문 대통령은 “디지털 뉴딜은 (디지털 경제와) 조금 다르다”며 “디지털 시대 선도하려면 디지털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입력하고 정리하고 축적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만들고 그 속에서 개인정보가 침해되지 않을 수 있게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작업에는 많은 수작업, 인력이 직접해야하는 직업이 생겨나게 된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그 일자리를 대폭 마련해서 지금 고용위기에도 대응하고 디지털 경제에서도 대한민국이 선도하는 나라가 되겠다는 것이 우리가 지금 말하는 일자리 뉴딜, 한국판 뉴딜로서의 디지털 뉴딜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디지털 경제는 피할 수 없는 추세”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디지털 경제는) 이번 코로나 사태가 아니었더라도 가야 하는 우리의 미래”라며 “그러나 이번 코로나 사태 거치면서 디지털경제는 더욱 더 속도를 내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그에 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며 “말씀하신대로 디지털 경제는 한편으로 새로운 일자리 많이 만들어낼 것이지만 한편으로는 기존 일자리를 많이 없애게 될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 분들을 어떻게 새로 생기는 일자리로 옮겨갈수 있게 해주고 옮겨갈 수 있을 때까지 생활 보장해 줄 수 있느냐는 것이 앞으로 큰 과제가 될 것”이라며 “그에 대한 대책은 여러차례 디지털 경제대책 발표하면서 말씀드린 바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