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귀국하는 어선원은 한국인 173명을 비롯해 인도네시아인 585명, 베트남인 72명, 필리핀인 51명 등이다.
해수부에 따르면 현재 남대서양 연안 해역에서 오징어채낚기 어업에 종사하는 원양어선은 총 30척이다.
원양어선원들은 어기가 종료되는 5월부터 6월 사이 대부분 자국으로 귀국하지만 올해 우루과이, 페루 등 남미 국가에도 코로나19 확산으로 주요 공항과 항만이 폐쇄돼 귀국길이 봉쇄된 상태였다.
해수부는 4월부터 원양노조, 원양산업협회가 참여하는 노·사·정 협의회를 총 4차례 개최해 원양어선원의 귀국 방안을 논의하고 조기 귀국을 위한 노사간 합의를 도출했다.
외교부도 주우루과이 한국대사관을 통해 우리 원양어선이 몬테비데오항으로 입항할 수 있도록 우루과이 정부와 교섭하고 필수 잔류 인력 대기조치가 철회 될 수 있도록 노력했다.
아마스조나스 항공사(Amaszonas Uruguay)로부터 몬테비데오와 브라질 상파울루 간 임시 항공편을 확보해 원양어선원이 귀국길에 오를 수 있게 됐다.
항공편으로 귀국하는 원양어선원 416명은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현지시각 6월 4일 12시 20분에 한국인 18명을 포함한 80명이 첫 출발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출발할 예정이다. 카타르 도하공항 등을 경유해 각국으로 귀국하게 된다.
나머지 원양어선원 465명은 조업선을 직접 타고 귀국길에 오른다. 인도네시아 선원 중 일부인 66명을 자국에 내려준 뒤 7월 중순경 부산항에 입항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조업선이 이동하는 동안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도록 조업감시센터를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오운열 해수부 해양정책실장은 “이번에 원양어선원들이 조기에 귀국길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해외 공관의 적극적인 지원과 노사간의 조속한 합의에 따른 결과물로 의미있다”면서 “어선원들이 안전하게 무사히 귀국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관계기관, 업계 등과 협력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