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현지 언론 스트레이츠 타임스·CNA 보도에 따르면 지난 10일 총선 결과 PAP는 전체 93석 중 83석의 의석을 차지했다. PAP는 싱가포르의 국부로 추앙받는 리콴유 전(前) 총리가 만든 정당이다. 1965년 싱가포르가 독립한 이후 모든 총선에서 승리, 의회를 지배해왔다. 이번 총선에서 외견상의 승리는 거뒀으나 의석 점유율이 90% 미만으로 떨어진 것은 사상 최초다. 득표율도 역대 최저인 2011년의 득표율(60.1%)에 가까운 61.24%를 기록했다. 직전 총선인 2015년에선 69.86%를 얻었던 것과 달리 올해는 8.62%포인트 떨어진 것이다.
PAP가 사상 최저 성적표를 받아든 반면, 야당인 노동자당(WP)은 역대 가장 많은 10석을 차지하며 약진했다. 직전 총선에서 6석을 획득한 노동자당은 역대 총선에서 야당이 차지한 최다 의석의 기록을 또 한번 다시 썼다. 리 총리의 동생 리셴양이 가세해 기대를 모았던 전진싱가포르당(PSP)는 한 석도 얻지 못했다.
PAP는 여전히 의회를 ‘지배’하고 있지만 이번 총선은 사실상 PAP의 패배란 이야기도 나온다. 국부인 리콴유 전 총리의 장남인 리셴룽 총리가 나서 “코로나19로 불거진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집권여당에 힘을 모아달라”고 호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나온 결과다. 엘빈 옹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 박사는 현지 언론 스트레이츠 타임스에 “많은 국민들이 PAP가 코로나19 위기를 다루는 방식에 만족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야당이 최다 의석을 획득하며 약진한 것도 리셴룽 총리가 이끄는 싱가포르의 고질적인 소득 불평등 문제와 경제 침체 등 민심의 불만이 드러났다는 신호로도 풀이된다.
이번 총선의 결과로 추후 이루어질 리셴룽 총리의 후계 작업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 리 총리의 후계자로 거론되고 있는 헹스위킷 부총리로 총리직을 승계하는 것에 민심이 강력한 지지를 보내지 않고 있는 탓이다. 게다가 헹스위킷 부총리는 이번 총선에서 선거구를 이스트 코스트 집단선거구(GRC)로 옮겼으나 득표율 53.41%로 ‘간신히’ 의석을 지켰다.
리 총리는 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와중에 조기 총선을 실시했다. 예상 밖의 ‘민심’이 결과로 드러났다. 수년 간 2022년 전에 총리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혀온 리 총리로선 여전히 가시지 않은 코로나19 위기와 총리직 승계 등 후계 작업으로 고민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