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전기차 113만대, 수소차 20만대 국내보급
전기ㆍ수소차 수출 53만대, 배터리 매출 50조 달성
|
30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미래자동차 확산 및 시장선점전략을 발표했다. 2025년 전기차 가격 1000만원 인하를 위해 핵심부품 연구개발 및 전용플랫폼을 적용하고, 초기 구매가격을 절반 수준인 2000만원 이하로 낮추는 ‘배터리리스’ 시범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 상반기 테슬라가 싹쓸이 한 보조금 시장은 승용차는 가격구간별 상한제를 도입해 가격 인하를 유도하기로 했다. 또 주요 공공기관장 차량은 내년부터 100% 전기·수소차로 구매하도록 했고 기관 업무용차량도 의무구매비율을 내년 80%로 정하고 단계적으로 올린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핸드폰처럼 상시적인 생활충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신축건물 의무 설치 비율을 현재 0.5%에서 2022년 5%로 높인다. 2025년까지 50만기 이상 구축이 가능하다는 계산이다. 또 모든 고속도로 휴게소(197개)에 충전기 2025년 15기씩 전기차충전소를 확충하기로 했다.
수소충전소는 올해 말까지 누적 72기, 2022년까지 총 310기, 2025년까지 450기를 구축,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일단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우선 공급에 들어간다. 2022년까지 수도권에 80기, 이중 30기는 서울에 설치된다.
|
자율주행은 2025년까지 모든 고속도로(4075km) 및 주요 간선도로에 C-ITS를 구축하기로 했다. C-ITS는 ‘차-도로’, ‘차-차’간 통신으로 차량 센서(눈)의 인지기능을 보완해 안전한 주행을 돕는 필수 인프라다. 영상·위치 등 자율주행 정보 국가표준을 세계최초로 마련하고, 국제표준으로 추진키로 했다. 관계부처간 협력해 데이터 생산·축적·가공·공유 체계 마련하고, 중소기업·스타트업 등 모든 개인과 기업이 부품개발 및 신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 이차전지와 연료전지 등 미래차 핵심부품을 완성차 60만대 가치의 신수출상품으로 육성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철도와 선박, 건설기계 등을 수출상품으로 육성하는 안도 나왔다. 도심 수소트램 실증 사업을 2024년부터 벌이고 수소연안선박 개발을 2025년까지 완료하기로 했다. 또 수소지게차와 굴착기 실증 후 사용화를 2023년까지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