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여론조사 비율 상향, 여성 가산제 유지 등 고심
|
민주당 재보궐선거기획단 관계자는 22일 언론을 통해 “경선 방식에 다양한 아이디어가 필요하다”며 “서울과 부산의 경선 규칙이 꼭 같이 가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부산 지역의 한 의원은 “서울과 부산의 환경이 무척 다른데, 일괄적으로 정하고 따라오라고 하면 선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전체적인 전략은 같겠지만 ‘디테일’로 들어가면 방식이 달라져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세부적인 룰을 조정해 서울·부산 두 지역의 경선 방식을 차별화 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일단 민주당은 기본적인 경선 규칙은 당헌·당규의 틀을 따르겠다는 방침이다. 2018년 지방선거 때 적용된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대상 여론조사 50%’의 국민참여 경선 방식이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당내에서는 국민의 참여를 끌어내기 위해 일반 국민 대상 여론조사 비율을 높여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지도부를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경선 규칙 조정으로 기존 후보군이 아닌 신선한 후보도 참여해 흥행몰이에 나서야 한다는 판단이다. 제1야당 국민의힘이 경선에서 여론조사의 비율을 과감히 높이기로 한 것도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여성 가산점의 경우 당내 이견에도 불구하고 가점을 유지하는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번 선거가 민주당 지자체장의 성추문으로 인해 열리는 것으로, 여성 후보론까지 나오는 상황이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또 기존 여성 가산제도가 이미 신인과 기성정치인을 구분해 가산점을 주고 있어 현행대로 유지하자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당헌·당규에 따르면 전·현직 국회의원 여성 후보는 10%, 이외 여성 후보는 25%의 가산점을 얻는다.
민주당 재보궐선거기획단은 분과별 회의를 거쳐 이르면 다음달 3일 기획단 전체 회의에서 경선 룰을 의결한 뒤, 다음달 4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9일 출범한 기획단은 앞선 논의를 통해 성범죄, 가정폭력, 투기성 다주택자에 예외 없이 부적격 기준을 적용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