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서울거주 1인가구에 대한 정책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서울거주 만 18~65세 이하 서울시민을 대상(복수응답 가능)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25일 밝혔다.
1인 가구 우선 정책에서 주거안정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한 비율은 55%였다. 이어 기본소득지원(31.1%), 연말정산 소득공제 범위 확대(19.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별과 연령에 따라 정책 수요에 차이를 나타냈는데, 여성과 20·60대는 ‘방범·치안 등 안전 확보’에, 40대 이상은 ‘고독사 예방 등 사회적 관계망 지원’, ‘건강보험료 지원’에 관심을 보였다.
1인 가구가 살아가기에 적합한 사회인지 묻는 질문에는 40.9%가 그렇다고 답했다. 계속해서 1인 가구로 남기를 원하는 답변도 62.8%로 과반수 이상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로 가장 만족스러운 점으로는 73.1%가 간섭받지 않는 독립된 생활을 꼽았다.
반면 1인 가구의 30.1%는 ‘서울은 1인가구가 살아가기 적합하지 않은 사회’라는 반응을 보였다. ‘1인 가구는 여러 문제가 있어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부족한 사람’이라는 사회적 편견이 존재한다고 답한 이들의 비율도 35.9%였다.
지난해 서울의 1인 가구는 약 130만 가구로 전체 380만 가구의 33.9%를 차지했다. 1980년 8만2477만 가구에서 약 40년 만에 무려 16배가 증가했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1인 가구를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해 다양해지는 정책수요를 지속적으로 파악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