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성장률 역시 0.8%포인트 높인 -1.1%로 전망하며 성장전망을 공개하는 11개국 중 가장 높은 전망치를 기록했다.
IMF는 26일(현지시간) ‘1월 세계경제전망 수정(World Economic Outlook Update)’를 발표해 이같이 밝혔다.
IMF에 따르면 한국의 2021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10월 전망보다 0.2%포인트 상향한 3.1%로 조정됐다.
2020년 전망치는 0.8%포인트 높인 -1.1%로 이는 성장전망을 공개하는 11개국 중 가장 높은 전망치다.
IMF는 한국의 높은 전망치에 대해 코로나19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실질GDP를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한 ‘2020~2021년 합산성장률’을 보면 한국은 2.0%로 가장 높았으며 미국 1.5%, 일본 -2.2%, 독일 -2.1%, 프랑스 -4.0% 등이었다.
이는 실물경제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정도 역시 한국이 가장 높을 것으로 판단한 셈이다.
또 IMF는 이날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5.5%로 발표하며 지난 발표보다 0.3%포인트 높여 잡았다.
특히 선진국의 경우 강력한 정책지원과 올해 여름 백신 보급이 광범위하게 이뤄진다는 가정하에 4.3%로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선진국의 올해 전망치를 보면 미국 5.1%, 일본 3.1%, 영국 4.5%, 독일 3.5%, 프랑스 5.5% 등이다.
신흥개도국은 국가별 경기회복 양상에 차이가 있지만 중국의 고성장, 인도의 성장률 상향을 반영해 6.3%로 내다봤다.
신흥개도국의 경우 중국 8.1%, 인도 11.5%, 브라질 3.6%, 멕시코 4.3%, 러시아 3.0% 등이다.
IMF는 백신 개발·보급, 치료제 발달 등에 따른 팬데믹의 조기 종식이나 기업·가계의 심리 개선, 추가 재정 확대 등은 상향요인이지만 코로나19 재확산, 봉쇄조치 강화, 백신 출시 지연, 사회적 불안 확대, 성급한 정책지원 중단, 금융 여건 위축 등 하방요인이 존재한다는 것을 경고했다.
아울러 코로나19 확산이 지속하면 피해계층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유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실업자 재교육과 사회안전망 강화, 실업급여 기준 완화 등 사회보험 확대를 통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