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잔수(栗戰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장이 다음날 이집트 국회의장, 왕이(王毅)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수교 60주년을 맞은 라오스 외교부장관에게 일대일로 협력 강화를 천명한 행보 역시 같은 맥락으로 봐야 한다. 이외 왕원빈(汪文斌) 외교부 대변인이 “일대일로 구상은 태평양 섬나라의 민생복지를 촉진하기 위한 ‘혜민의 떡’이다. 절대로 ‘채무 함정’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중국이 프로젝트 추진에 강력한 의지가 있을 뿐 아니라 상황이 좋아질 수도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행보들이다.
하지만 중국 밖의 현실을 보면 얘기는 많이 달라지게 된다. 호주 정부가 21일(현지시간) 빅토리아주 정부의 일대일로 사업 참여에 제동을 걸기 위해 관련 업무협약(MOU) 4건을 취소한 것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중국 자본이 대거 투입된 파키스탄을 비롯한 서남아시아 국가들 대부분이 채무 덫에 걸려 전체 경제가 흔들거리는 양상을 보이는 점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자칫 잘못하면 국가 부도로 이어질 수도 있는 만큼 이 국가들이 일대일로 프로젝트에 계속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장담하기 어렵다.
이뿐만이 아니다. 중국 자본 침투에 대한 반발로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반중 정서가 급속 확산되는 것은 더욱 큰 치명타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일대일로에 대한 미국의 극단적 반발은 굳이 언급할 필요조차 없다.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앞날이 순탄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고개를 드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