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칠승 중기부 장관이 10일 경북 안동에 있는 웰츄럴바이오를 방문, 김영환 웰츄럴바이오 대표가 회사 제품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다./제공=중기부
권칠승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10일 경북 안동에 있는 웰츄럴바이오를 방문했다. 웰츄럴바이는 체중조절 푸드 등 기능성 식품을 제조해 세계시장에 케이(K) 푸드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는 기업이다.
또 권 장관은 이날 경북 안동에 있는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에서 열린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사업자 간담회’에 참석해 “아직까지 헴프(대마)에 대한 사회의 편견이 높은 만큼 (헴프)의 안전한 관리를 바탕으로 실증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중기부는 새로운 시장을 열어갈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의해 규제법령을 적극적으로 정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 장관은 “그동안 현장에 답이 있다는 생각으로 이틀에 한 번꼴로 현장을 찾았다”며 “기회가 될 때마다 규제자유특구도 방문해 현장 애로를 듣고 개선점이나 해결 방안이 없는지 함께 고민하고 있다. 앞으로도 현장이 원하는 정책을 추진하려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1
0
권칠승 중기부 장관이 10일 경북 안동에 있는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에서 열린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사업자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제공=중기부
최형우 안동대 교수는 ‘국내외 헴프산업 동향’ 발표를 통해 미국과 유럽 등 해외 주요국에서 고부가가치 바이오 산업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헴프를 소개했으며 자유토론 시간에는 특구사업자 지원방안, 대마 성분 의약품(칸나비디올) 해외판로 개척, 헴프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 등 실증 과정에서 겪은 현장의 애로사항과 정책제언들이 논의됐다. 강종수 유한건강생활 대표는 “규제자유특구를 통해 헴프 산업의 오랜 염원이었던 규제의 먹구름이 가시고 있다”며 “헴프를 바이오 신소재로 개발해 신시장을 개척할 기회로 삼겠다”고 밝혔다.
작년 7월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경북 산업용 헴프 특구는 전국 최대의 헴프 주산지인 안동을 특구 지역으로 해 그간 국내에서는 법적 규제로 접근조차 불가능했던 (헴프)를 산업화하기 위한 실증을 지난 4월 착수했다. 헴프의 안전관리를 위해 재배부터 칸나비디올 추출, 제조, 수출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이 블록체인 기반으로 철저히 관리하고 스마트팜 방식을 도입해 헴프가 자라기 좋은 환경(온도·조도 등)을 정밀하게 제어해 칸나비디올 함량을 높이는 신기술을 적용했다. 재배되는 헴프의 품종으로는 안동포 등의 원료로 우리 농가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청삼종으로 향후 본격적인 산업화가 이뤄지면 농가 수익에도 크게 도움 될 전망이다.
한편 권 장관은 기능성 식품을 제조해 세계시장에 케이(K)푸드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는 웰츄럴바이오를 방문했고, 이어 백년소공인 업체인 명인 안동소주를 방문해 신기술 적용과 해외시장 진출에 따른 애로사항을 들었다.
2
0
(왼쪽부터) 주낙영 경주시장, 이강덕 포항시장,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한진관 경북 바이오산업연구원장, 권칠승 중기부 장관, 권영진 대구시장, 김형동 의원, 하대성 경상북도부지사, 박성수 안동시부시장이 10일 경북 안동에 있는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에서 열린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사업자 간담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제공=중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