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염병 전문가들은 14일 ‘이상반응 관련 설명회’에서 해외 임신부 접종 기준을 예를 들어 국내 임신부 접종 계획을 전망했다.
최원석 고려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미국·유럽·일본·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임신부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금기로 삼고 있지 않다”며 “미국은 임신부에 오히려 접종을 강력히 권고한다”고 밝혔다. 이들 국가의 권고 근거로는 “임신부가 코로나19에 걸렸을 때 중증으로 진행하거나 사망할 위험이 비임신부보다 높다는 자료가 축적돼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최 교수는 “국가별 상황에 따라 고위험 임신부에게만 접종을 권고하는 등 권고 형태가 다양하다”며 “우리도 일정 수준 임신부에 대한 접종을 허용하는 쪽으로 가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백신이 백혈병·장괴사·생리불순 등의 중대한 이상반응을 유발한다는 온라인 상의 주장에 대해 현재로선 근거를 찾기 어렵다고 밝혔다. 또 1회 접종으로 끝나는 얀센 백신은 2회 접종 백신에 비해 면역반응이 충분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어 향후 ‘부스터샷’(예방효과 보강을 위한 추가 접종)이 필요할 것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