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경선 앞두고 '정치적 계산' 의도 깔린 듯
과거 윤석열 옹호 주장 사례도
|
이와 관련해 청와대 측은 “답변할 사항이 아니다”라며 거리두기에 나섰지만, 정치권에서는 여러 해석이 난무하고 있다.
추 전 장관은 15일 자신의 SNS를 통해 “당은 끝내 개혁을 실종시키고 선거 참패하고 검찰의 음습한 쿠데타도 모르고 거꾸로 장관이 징계청구로 (윤 전 총장을) 키워줬다고 원망을 했다”며 “이제와 해임건의한 대표가 탓을 바꾸려는 프레임 걸기를 시도한다”고 밝혔다.
전날 TV 토론회에서 ‘장관 재직 당시 왜 손 검사를 그 자리에 임명했느냐’고 다그친 이낙연 전 대표를 직격한 것이다. 당시 추 전 장관은 이 전 대표의 질문에 “윤 전 총장 측 로비도 있었고, 당에서도 엄호한 사람이 있었다. 청와대 안에도 있었다”고 폭로했다. 다만 추 전 장관은 고발 사주 의혹이 검찰 인사 문제로 비화돼 본질을 흐릴 수 있다며, 당·청 비호세력에 대해서는 함구했다.
정치권 일각에선 추 전 장관이 중반으로 치닫고 있는 민주당 경선 과정에서 이 전 대표와 공방을 세게 벌이다 나온 발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손 검사가 윤 전 총장 사람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당시 당대표였던 이 전 대표가 검찰개혁 ‘속도조절’의 분위기를 조성해 손 검사가 유임된 것이라는 점을 부각시키려는 의도에서 나온 발언이라는 것이다.
특히 오는 25~26일 호남 경선이 예정된 시기인 만큼 이 전 대표에게도 책임이 있다는 점을 지지층에게 알리려는 의도가 깔린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당과 청와대 일부에서 윤 전 총장을 옹호하는 주장이 실제로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앞서 윤 전 총장을 검찰총장으로 추천한 설이 돈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 사례나 박범계 법무부 장관과의 갈등으로 임명 한 달 반 만에 사의를 표명한 신현수 전 청와대 민정수석 사례 등에서 나타난 것처럼, 당·청 내부에서도 윤 전 총장의 의견을 들어주자는 주장이 일부 존재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