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정익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 예방접종관리팀장은 23일 정례 브리핑에서 “활동력이 왕성한 집단에서 (돌파감염) 발병률이 높아지는 양상이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홍 팀장은 “얀센 백신 주 접종 대상자의 활동력이 왕성하기 때문에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노출력이 많아 돌파감염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지난 12일 기준 백신 접종 후 돌파감염 추정 사례는 국내 백신 접종 완료자 가운데 5880명으로 전체의 0.040%로 집계됐다. 이는 접종 완료자 10만명당 40.2명꼴로 백신 접종 후 코로나19에 확진된 셈이다.
백신 종류별로 보면 얀센 접종자의 돌파감염 비율이 0.161%(10만명당 161.2명)로 가장 높았다. 이어 화이자 0.034%(10만명당 33.5명), 아스트라제네카 0.028%(10만명당 27.6명), 모더나 0.024%(10만명당 24.2명) 등의 순이다. 얀센 접종자의 돌파감염 발생률이 모더나 백신 접종자보다 6배 이상 높은 것이다.
홍 팀장은 1회 접종으로 끝나는 얀센 백신이 2회 접종이 필요한 백신보다 효과가 떨어질 가능성에 대해 “1회 접종의 한계는 연구 결과를 좀 더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며 “결과에 따라 부스터샷(추가 접종)등의 부분도 함께 검토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