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 이익이 더 클 것…75%, 백신패스 적절
코로나 확진 우려, 지난 1월 이후 꾸준히 감소세
|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팀은 22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린 단계적 일상회복 관련 2차 공개토론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코로나19 대응 체제 전환에 관한 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가 유 교수팀에 의뢰해 지난 5∼8일 만 19∼69세 1083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는 한국리서치가 진행했다.
조사대상 중 76.5%가 ‘코로나19와 일상이 공존하도록 방역체계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지난 8월 조사(56.9%) 보다 19.6%포인트 증가했다.
세부적으로는 70.7%가 코로나19 대응 방역목표를 확진자 최소화에서 민생·일상 손실 최소화로 전환하는 것에 찬성했다. 중증환자·사망자 수 최소화를 위해 보건의료 체계를 전환해야 한다는 데에는 74.0%가 동의했고, 사회적 거리두기 규제 조치의 전환에는 63.1%가 찬성했다.
위드코로나 전환 시점으로는 ‘지금이 가장 적당하다’는 의견이 41.8%로 가장 많았다. 나중에 전환해야 한다는 응답이 27.5%, 이미 늦었다는 응답이 20.6%로 나타났다.
위드코로나 전환에 대해서는 사회적 이득이 손실보다 더 클 것이라는 응답이 53.2%였다. 기대감에 대해서는 ‘기대와 우려가 반반’이라는 응답이 49.2%로 가장 많았고, ‘기대가 크다’는 답이 32.9%, ‘우려가 크다’는 대답이 17.9%였다.
응답자의 58.8%는 ‘규제를 완화하지 않으면 사회가 위축되고 국민 삶의 질 전반이 더 낮아질 것을 우려한다’고 답했고, 규제 완화로 인해 확진자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는 응답이 61.8%였다. 55%는 중증환자와 사망자 증가가 우려된다고 전했다.
방역체계 전환 후 일평균 확진자 수를 어느 수준까지 감수할 수 있냐는 응답에는 ‘1000명 이상∼2000명 미만’이라는 응답이 57. 1%로 가장 많았다. 연간 사망자 수 역시 ‘1000명 이상∼2000명 미만’일 때 감수할 수 있다는 응답이 다수였다.
위드코로나 시기 ‘실내 마스크 착용 요구 해제’에 대해 응답자의 80.3%가, 모든 다중시설에 대해 운영시간 제한을 해제와 관련해서는 61.3%가 ‘부적절하다’고 답했다. 70.5%는 모임·행사·집회에 인원 제한을 없애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답했다. 외국 사례와 같이 의료인·공무원·교사 등 일부 대상 백신 접종 의무화에 관련해 82.7%가 적절하다고 봤다.
백신 패스 도입과 관련해 조사 대상의 74.9%가 적절하다고 답했고, 20.2%는 부적절하다고 봤다. 이와 관련한 우려를 사항별로 보면 백신 패스 취지의 왜곡은 74.1%, 미접종자에 대한 차별은 62.1%, 기저질환자 등 정당한 접종 예외 대상의 불이익 증가는 77.3%로 나타났다.
‘위드코로나 시기 확진자 집계를 중단해야 하느냐’는 질의에는 73.8%, ‘정부 브리핑 등 일일 대국민 발표를 중단해야 하냐’는 질의에는 66.8%가 부적절하다고 답했다.
‘확진될까봐 두렵다’는 응답은 올해 1월 71.8%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2월 69.7%, 8월 64%, 10월 56.8% 등으로 꾸준히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