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부 당국자는 25일 기자들과 만나 해킹 메일과 관련한 질문에 “(해킹 시도) 사실을 인지한 직후부터 관계 기관과 협조해 매뉴얼에 따라 대응조치를 했고 지금까지는 관련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최근 통일부 인도협력국 정착지원과 소속 직원의 이름으로 된 메일 ‘북한이탈주민 정착금 및 주거지원금 지급에 관한 예규 제정’이라는 이름으로 불특정 다수 탈북민에게 전송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메일에 첨부된 문서파일을 클릭하면 메신저 아이디와 암호를 입력하는 창이 뜨고 여기에 관련 정보를 적으면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해킹 수법이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이와 관련해 국내 민간보안업체 관계자의 발언을 바탕으로 이번 해킹 시도는 북한의 사이버 공작원에 의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하지만 통일부는 아직 정확한 사실관계는 드러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당국자는 통일부가 사이버안전센터를 통해 보안관제체계를 24시간 가동 중이라고 밝히며 관련 우려를 일축했다. 당국자는 “실제 이런 시도가 빈번해지고 있지만 사이버 공격이 차단될 수 있도록 계속 조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