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은 광대한 국토와 1억 명 전후에 이르는 소수민족의 존재에서 보듯 언어와 문자가 통일돼 있지 않다. 특히 소수민족의 언어는 그저 사투리 차원이 아니다. 중국어와는 완전히 다른 언어라고 봐야 한다.
광둥(廣東), 푸젠(福建), 저장(浙江)성 일부 지방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다. 통역이 없을 경우 푸퉁화를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지방으로 갈수록 이런 현상은 더 심해진다. 중국 정부가 국정의 최대 목표로 추진 중인 ‘하나의 중국’이라는 이상이 근본적으로 휘청거릴 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광밍르바오(光明日報)를 비롯한 언론의 2일 보도를 종합하면 국무원이 향후 더욱 강력한 푸퉁화 보급 노력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최근 피력한 것은 바로 이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언어의 통일을 통해 이른바 중화민족이라는 공동체 의식을 고취시키면서 최종적으로 ‘하나의 중국’ 실현에 필요한 기반을 다지겠다는 말이 아닌가 보인다.
이에 대해 문화 평론가인 런민(人民)대학 마샹우(馬相武) 교수는 “민족과 국가 통합에 가장 필요한 것은 언어와 문자라고 단언해도 좋다. 그러려면 현재 80% 남짓한 푸퉁화의 보급률을 더욱 높일 필요가 있다. 푸퉁화 확대 정책은 올바른 방향이라고 본다”면서 정부가 잘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상황이 반드시 낙관적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이유는 하나 둘이 아니다. 우선 자민족 고유의 언어에 대한 집착이 강한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를 비롯해 티베트,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간단치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꼽을 수 있다. 이는 지난해 네이멍구자치구에서 푸퉁화 교육 확대에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진 사실에서도 잘 알 수 있다.
푸퉁화 보급을 더욱 다그칠 경우 각 민족 고유의 언어와 문자가 완전히 사라진다는 위험성을 경고하는 우려의 목소리 역시 거론해야 한다. 한족 내부의 일부 언어 전문가들조차 우려한다면 더 이상 설명은 필요 없다. 여기에 엄청나게 수요가 증가할 푸퉁화 교사 및 예산의 부족 등까지 더할 경우 현실은 분명 낙관을 불허한다. 그럼에도 당국의 입장으로 볼때 향후 강력하게 전개될 푸퉁화 보급은 대세가 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