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 안전성 가중치 현행 50%→30%↓
주거환경 비중 15%→30↑ 상향 검토
전문가 "도심 주택 공급 빨라질 것"
|
17일 정계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부동산 공급 대책으로 재건축 안전진단 규제를 완화하는 내용의 공약을 준비 중이다. 두 후보 모두 안전진단 기준의 문턱을 낮추는 것이 골자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안전진단 규제 완화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2018년 시행된 안전진단 규정 강화가 법률이 아닌 시행령으로 만들어진 까닭이다. 대통령의 의지만 있다면 당장 환원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안전진단 통과의 발목을 잡는 건 2018년 3월 도입된 적정성 검토 기준이다. 적정성 검토 평가항목은 구조 안전성 50%, 주거환경 15%, 건축마감 및 설비노후도 25%, 비용분석 10%로 구성되는데 건물의 내구성 등을 평가하는 구조 안전성 비중이 기존 20%에서 50%로 강화하면서 안전진단을 통과하는 단지가 손에 꼽힐 정도로 크게 줄었다.
규제가 강화되기 전인 2015년 3월부터 2018년 3월까지 3년간 서울에서 총 56개 단지가 1차 안전진단을 통과해 재건축 판정을 받았다. 반면 2018년 3월 이후 현재까지 1차 안전진단을 통과한 뒤 적정성 검토를 신청한 곳은 27곳인데, 이 중 적정성 검토 문턱을 넘은 단지는 마포구 성산시영아파트와 양천구 목동6단지 등 4곳에 불과하다.
이에 이 후보와 윤 후보 모두 적정성 검토 평가 항목 중 구조 안전성 가중치를 낮추는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구조 안전성의 가중치를 현행 50%에서 30%로 낮추고 대신 주거환경 비중을 현행 15%에서 30%로 높이는 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윤 두 후보가 안전진단 규제 완화 카드를 꺼내든 것은 도심 내 주택 공급을 위해서다. 3기 신도시만으로는 서울 도심권을 원하는 수요를 충족할 수 없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장(경인여대 교수)은 “현행 안전진단 평가항목 중에는 50%를 차지하는 구조 안정성 부문을 완화하면 재건축 활성화로 도심 내 신규 주택 공급도 빠르게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안전진단 완화의 수혜지로는 목동과 상계동 등지가 거론된다. 상계동 한 주민은 “안전진단 강화로 재건축 첫 관문부터 넘지 못해 좌절했던 단지들이 많았는데 여야 후보 모두 이를 완화해준다고 하니 사업을 빨리 진행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안전진단을 넘어도 재건축 사업은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는 지적도 많다. 곽창석 도시와공간 대표는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나 분양가 상한제 등 사업성을 떨어뜨리는 규제가 여전히 많이 남아 있어 재건축이 순항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