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이 김선달' 등 발언으로 촉발…"불교 왜곡 중단해야"
정청래, 기자회견서 "불교계 심려 끼친 데 참회와 사과"
|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이른바 ‘봉이 김선달’, ‘통행세’ 발언으로 촉발된 이번 승려대회에 송영길 민주당 대표를 포함한 여당 의원들이 방문해 사과 발언을 하려 했지만 승려들의 반발에 부딪혀 무산됐다.
정 의원은 지난해 10월5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 해인사 ‘문화재구역 입장료’를 ‘통행세’로 지칭하고 이를 징수하는 전통사찰을 ‘봉이 김선달’이라고 표현해 불교계의 강한 반발을 샀다.
|
민주당 송 대표와 김영배, 이원욱 의원이 이날 조계사에 방문해 단상에서 사과 발언을 하려 했지만, 승려들의 거센 반발로 무산됐다. 승려 50여명은 “들을 필요가 없다”고 반발했다.
정 의원도 이날 오후 2시20분께 조계사를 찾았으나 들어서지 않고 입구에서 발길을 돌렸다. 이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저로 인해 불교계에 심려를 끼쳐 드린 데 대해서 참회와 심심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지난 몇 달간 저 스스로 많은 성찰과 사색의 시간을 가졌다. 불교계의 고충과 억울한 점도 인식하게 됐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더 낮은 자세로 경청하고 국민과 불교계의 상생발전을 위해 더욱 정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소중한 문화재를 지켜오신 불교계와 스님들의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 법과 제도를 정비하는데 미력하게나마 제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부족한 문화재 보호관리법, 전통사찰 보존관리법 등을 살펴서 불교계가 사랑과 존경을 받고 불교 전통문화를 꽃 피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거듭 사과 의사를 밝혔다.
|
전국승려대회는 종헌종법을 초월하는 초법적 의사결정 수단으로 종단이 위기에 처했다고 판단될 때 개최됐다. 이날 대회에서 불교계는 불교가 차별받고 있다며 △정청래 의원 제명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사퇴 △문재인 대통령 사과 등을 요구했다.
이날 승려대회는 종교행사인 만큼 일반 집회처럼 최대 299명(백신 접종완료자 기준) 인원 제한을 받지 않고 사전 집회 신고 대상도 되지 않아 논란이 되기도 했다.
현재 정부 방역지침상 종교시설 행사는 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수용인원의 30%, 접종완료자만 참석하면 수용인원의 70%까지 가능하다.
이날 조계사 정문 맞은편 도로에서는 전국승려대회에 반대하는 시민들이 ‘코로나 시국에 승려대회? 대선 앞두고 정치개입? 우린 반댈세’ 현수막을 들고 반대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