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아시아투데이 취재에 따르면 방역당국은 이날 오후 회의를 통해 4월 1일부터 베트남의 격리면제 제외국가 지정을 해제하기로 했다. 지정 해제 시점을 논의한 방역 당국은 가장 빠른 시점인 1일부터 지정을 해제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역당국과 주베트남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본지에 매주 이뤄지는 위험도 평가에서 베트남이 위험국에서 제외된 데 따른 조치라 설명했다.
당국은 또한 1일부터 기존 △방역강화국가 △추이감시국가 △일반국가 △교류가능국가로 구분하는 4단계 국가분류체계를 2단계로 단순화 한 관리체계를 적용한다. 이에 따라 현행 방역강화국가는 주의국가(레벨2)로, 그 외 국가들은 일반국가(레벨1)로 분류된다.
앞서 방역당국은 지난 18일 베트남을 ‘방역강화 대상국’으로 조정하며 “4월 1일부터 베트남에서 입국하는 모든 내·외국인은 백신 접종 여부와 상관없이 현행 조치처럼 7일간 자가격리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4월 중으로 출장을 계획했던 기업인들과 한국을 다녀오려던 교민들이 항공권과 일정을 취소하기도 했다.
4월 중 한국 출장을 취소한 기업인 A씨는 31일 본지에 “4월 1일부터 격리면제 제외국가로 지정된다고 해서 베트남에서 한국으로 출장을 가려던 나도, 한국에서 베트남으로 단기 출장을 오려던 인원도 항공권과 호텔을 모두 취소했다. 그런데 시행조차 하지 않고 1일부터 다시 격리를 면제한다니 웃어야 할 지 울어야 할 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A씨는 “단순한 여행이나 친지방문이었으면 취소 수수료를 물고 끝나겠지만 다시 출장·미팅 일정을 잡는 것은 쉽지 않은 상황”이라 말했다.
하노이에 거주 중인 교민 B씨도 “베트남이 격리면제에서 제외된다고 해서 수수료를 물고 항공권을 취소했다. 요즘엔 입국해도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설치도 없어 자가격리를 안 지켜도 모른다고 취소하지 않은 사람들도 있다. 자가격리 규정을 준수하고 베트남으로 돌아오기엔 회사 등 일정이 맞지 않아 수수료를 물고 취소했는데, 규정을 지키려던 사람만 바보가 됐다”고 했다. B씨는 “그래도 다른 교민들이 한국에 다녀오는 것이 수월해져서 다행이지만 애초부터 이해하기 힘들었던 정책이 오락가락하기까지 하니 황당할 따름”이라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