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러, 거부권 명분 사라져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 가능성"
방미 박진 외교, 국무·에너지·상무장관, 상·하원의원, 전문가 면담 광폭 행보
|
정부는 아울러 안보리 대북제재와 별개로 미국 등 동맹이 참여하는 독자 제재를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1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한국문화원에서 특파원 간담회를 열고 전날 오찬을 포함해 2시간 30분 동안 만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과 향후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강력한 제재 요소를 담은 유엔 안보리 신규 결의안을 추진해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
이 관계자는 특히 한·미 외교장관이 안보리뿐 아니라 독자적인 제재를 위해 여러가지 방안을 검토해 추진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박 장관은 “블링컨 장관과의 회담에서 북핵 문제 해결에서 중국의 건설적 역할이 중요하고, 중국과 전략적으로 소통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와 관련, “중국이 인도·태평양 지역이나 북한 문제에 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이 한국과 차이가 있다면 이를 좁히기 위해 전략 소통이 중요한데 이는 한·중이 모두 이해하고 있는 점”이라며 지난달 17일 약 1시간 15분 동안 화상 통화를 한 박 장관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적절한 시기에 직접 만나 한·중 대화를 이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
앞서 블링컨 장관은 전날 박 장관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모든 비상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고 한 뒤 적절한 장단기 군사대비태세 조정에도 준비돼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 콜린 칼 미국 국방부 정책차관은 이날 미국 싱크탱크 신미국안보센터(CNAS) 대담에서 “최종 결정은 아직 내려지지 않았다”며 “한국에 새 행정부가 들어섰고, 현재 우리의 대비 태세가 진전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킬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에 관한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칼 차관은 “대비 태세와 관련한 어떤 조정도 한국 및 일본과 긴밀한 협의 하에 이뤄질 것”이라는 원칙도 강조했다.
|
또 오는 29∼30일 스페인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때 한·미·일 3국, 또는 한·일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에 대해선 한국과 일본 모두 참석 여부를 공식화하지 않은 상태라며 즉답하지 않았다.
다만 이 관계자는 “다자 정상회의 계기에 관련된 정상들이 만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한 뒤 엄중한 한반도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일 공조가 대단히 필요한 시점이어서 정상 간 회동을 통해 정책 공조를 다지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며 한·미·일, 한·일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열어뒀다.
관계자는 전날 박 장관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정상화를 언급한 것이 일본의 한국 수출통제 등 다른 현안과 동시에 해결하는 것을 상정한 것이냐는 질문에 “지소미아가 앞으로 제대로 작동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일반론적 차원”이라고 답했다.
|
이에 대해 박 장관은 “그만큼 한미동맹의 폭과 깊이가 확대·심화, 안보 동맹에서 경제·기술 동맹으로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한 관계자는 박 장관이 영어에 능통하고 정치인 특유의 화술이 뛰어나 면담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