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요즘 외식 트렌드는?…혼밥·타코·지역 특색 메뉴가 대세!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1010000230

글자크기

닫기

박진숙 기자

승인 : 2025. 07. 01. 10:28

배민, 매 분기 외식업자 위한 외식산업 트렌드 공개
타코 리믹스·모두의 한그릇·전국구 로컬 선정
"급변하는 외식산업 트렌드 대응 노하우 전달"
1
배달의민족 라이더 모습./우아한형제들
요즘 혼밥의 대세는 타코? 아니면 부산식 수육국밥이나 광주식 오리탕을 먹어 볼까?

최근 MZ 세대를 중심으로 다양한 재료를 조합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타코가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의정부식 부대찌개','제주 청귤 에이드' 등 지역명이 포함된 이른바 '로컬 키워드 메뉴'도 많이 팔리고 있다.

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은 외식업 업주들이 가게 운영에 참고할 수 있도록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25 외식업트렌드 Vol.2'를 1일 공개했다.

'2025 외식업트렌드'는 배민과 외식업 전문가들이 모여 트렌드 키워드를 선정해 선보이는 콘텐츠로, 풍부한 데이터와 전문가 인터뷰, 가게 운영에 당장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노하우 등이 담겨있다.?

첫 번째 키워드로 선정된 '타코 리믹스'는 간단하게 먹을 수 있고 다양한 재료와의 조합도 가능한 타코가 최근 소비자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현상을 짚은 키워드다.

배민에서 분석한 데이터에 따르면 타코를 판매하는 가게는 지난 4월 기준 약 2만1000곳으로, 2년 전보다 약 20% 늘었고, 주문 수도 2022년 약 8만건에서 지난해 14만5000건으로 빠르게 증가했다.
배달의민족 '2025 외식업트렌드 Vol.2'
배달의민족 '2025 외식업트렌드 Vol.2'의 첫 번째 키워드./우아한형제들
타코는 이국적이면서도 다른 메뉴에 비해 간단하게 즐길 수 있어 꾸준한 사랑을 받아왔다. 최근에는 고기구이, 김치전, 찜닭 등 다양한 요리와 조합해 MZ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으며 타코 열풍이 일고 있다.

배민 관계자는 "과카몰리, 살사 소스 등을 사용하는 타코는 건강 트렌드와도 맞물려 앞으로도 인기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두 번째 키워드인 '모두의 한그릇'은 혼밥이 일상화된 국내 외식 시장에서 1인, 소액 메뉴 구성이 가게 경영에 필수 요건으로 떠오르고 있는 상황을 진단한 키워드다.

1인 가구 증가와 배달 시장의 성장으로 혼밥을 익숙하게 느끼는 소비자들도 빠르게 늘고 있다. 실제 배민 자체 조사에 따르면 SNS에서 혼밥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한 소비자는 2014년 56%에서 올해는 83%로 급증했다.

1인 메뉴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기존에 혼밥으로 먹을 수 없었던 생선회, 고기구이, 각종 전골·찜 등의 카테고리에서 1인분 메뉴가 등장해 가게 매출액을 끌어올리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배민은 수도권 등 전국 주요 지역에서 최소주문금액 없이 1인분 메뉴를 주문할 수 있는 '한그릇'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트렌드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배달의민족 '2025 외식업트렌드 Vol.2'
배달의민족 '2025 외식업트렌드 Vol.2'의 두 번째 키워드./우아한형제들
세 번째 '전국구 로컬'은 지역의 음식이나 식재료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키워드다.

배민에서도 '부산식 수육 국밥', '제주 청귤 에이드', '광주식 오리탕' 등 메뉴명에 지역명이 포함된 이른바 '로컬 키워드 메뉴'를 판매하는 가게가 1분기 기준 약 20만 곳에 달했다.

배민 관계자는 "단순히 지역의 식재료를 활용하는 것을 넘어, 지역에 숨겨진 이야기를 메뉴에 담는 등 지역 콘텐츠를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3월 공개한 '2025 외식업 트렌드 Vol.1'은 16만건이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며 외식업 관계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이번 '2025 외식업 트렌드 Vol.2' 역시 가게 운영에 즉시 활용할 수 있는 풍부한 현장 인터뷰와 전문가 분석을 담아, 외식업주들이 가게운영에 참고할 수 있다고 배민 측은 덧붙였다.

권용규 우아한형제들 파트너성장센터장은 "급변하는 외식 산업 환경에 발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최근 외식업 트렌드를 짚은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마련중"이라며 "외식업 트렌드 외에도 배민트렌드, 배민외식업컨퍼런스 등을 통해 외식업주들에게 다양한 인사이트를 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배달의민족 '2025 외식업트렌드 Vol.2'의 세 번째 키워드
배달의민족 '2025 외식업트렌드 Vol.2'의 세 번째 키워드./우아한형제들
박진숙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