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 사업의 주관기업 선정에 입찰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KAI에 대한 기술 평가가 종료됐다.
전체 점수에서 기술평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90%다. 남은 10%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KAI가 적어 낸 가격으로 점수를 매긴다. 과기부는 우선협상 대상자와 다음달 한 달간 조율 후 오는 11월 중 최종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KAI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세계 위성시장 진입을 노리고 주관기업 선정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번 사업으로 700㎞ 태양동기궤도에 1.5톤급 위성을 투입할 수 있는 3단형 액체발사체의 설계, 제작, 시험, 발사운용 등 전주기에 해당하는 기술을 이전받을 수 있어서다. 또한 이전된 기술을 바탕으로 독자 발사체 개발이 가능하다.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의 '상용화 대상 기술 조사표'를 살펴보면 2011~2020년 세계 위성시장 규모는 303조원이다. 오는 2030년까지는 421조원 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10년간 1만7041기의 위성이 발사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가운데 75%가 각국 정부 수요로 추정된다.
KAI는 누리호 발사체 체계 총조립과 1단 추진제탱크를 제작했다. 항우연으로부터 위성분야 기술이전을 받아 차세대 중형위성 1호 개발에 성공했고 2호 개발·양산 체제도 구축한 경험을 갖췄다. KAI 관계자는 "주관기업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했다"고 전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의 심장에 해당하는 75톤 엔진과 7톤 엔진을 제작했다. 페어링과 추력기시스템, 산화제·연료펌프, 터빈 등 발사체 주요 부품과 장비, 시험설비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솜씨다. 한화그룹의 핵심 신사업으로 우주를 낙점하고 투자를 진행해온 점도 내세울 수 있다. 한화는 최근 위성체계기업인 쎄트렉아이를 인수했다.
과기부 우주기술과 관계자는 "기술평가 결과는 이미 밀봉됐고 조만간 거대공공연구정책과에서 평가위원회를 소집할 예정"이라며 "위원들의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다음달 초 국정감사 시기 쯤에는 주관기업 우선협상 대상자가 확정되지 않을까 싶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