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 같은 조치는 "전적으로 공중 보건과 과학적 근거에 따른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장-피에르 대변인은 방역 강화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한 것이라며 "일본과 한국, 영국, 프랑스, 인도, 이탈리아, 말레이시아 같은 국가들 역시 유사한 조치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경우 중국과 마카오, 홍콩에서 입국하는 모든 여행객에게 비행기 탑승 이틀 이내에 실시한 코로나19 검사 음성 확인서 제출을 의무화했다. 중국은 방역 규제가 정치적 조치라며 상응 조치를 하겠다고 전날 외교부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밝힌 바 있다.
장-피에르 대변인은 "세계보건기구(WHO) 역시 중국이 더 많은 데이터를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며 "다시 말하지만 우리의 시민을 확실히 보호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복할 필요가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도 중국발 입국자 방역 강화가 "역학 및 공중 보건에 대한 우려에 근거한 것"이라며 "중국에서 최근 코로나19 발생 증가와 역학 자료에 대한 투명성 부족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또 "미국은 중국에 코로나19 백신 제공을 비롯한 조치를 제안했으며, 중국은 감사를 표하면서도 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며 "우리는 제안을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