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보고서·뉴스 빅데이터 분석 기반
|
27일 한국ESG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평가대상 100개사의 평균 ESG 점수는 67.9점, B+ 등급으로 조사됐다. 평가원은 각사 지속가능보고서와 사업보고서, 지배구조보고서, 거래소 공시 등 공개정보를 이용하는 지표 분석과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논란 이슈 평가 등을 결합해 기업별 등급을 매겼다.
최우수 등급은 S등급(80점 이상)이다. 이어 A+(75∼80점), A(70∼75점), B+(65∼70점), B(60∼65점), C+(55∼60점), C(55점 미만) 등의 순으로 이어진다.
이중 KB금융과 신한금융, 하나금융, 우리금융 등 4대 금융지주는 모두 A+ 등급을 받았다. ESG평가원은 "KB금융지주는 4대 금융지주사 중 가장 우수한 평가 결과를 기록했다"면서 "직접평가 결과는 이미 S등급을 기록하고 있으나 뉴스평가가 A등급에 그쳐 종합 A+ 에 머물렀다"고 설명했다.
신한금융은 직접평가에서 S등급, 뉴스평가에서 B+등급을 받아 종합 A+ 등급을 획득했다. 우리금융은 내부 제도 및 운영 실적은 괜찮은 평가를 받았지만 부정적인 ESG 뉴스 등으로 인해 종합 A+로 평가됐다.
하나금융은 김정태 전 회장 퇴임 이후 지배구조 부문의 부정적 뉴스 평가가 다소 개선됐다. 또 직접평가에서 S를 받아 직전 평가 대비 2등급 수직 상승한 A+를 기록했다.
ESG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스틴베스트의 2022년 하반기 기업평가에서는 KB금융과 신한금융이 최고 등급을 받았다.
구체적으로 KB금융과 신한금융은 전체등급과 규모등급에서 각각 가장 높은 AA등급을 받았다. 하나금융은 전체등급과 규모등급에서 모두 BB를 받았고, 우리금융은 전체등급 A, 규모등급 BB를 각각 기록했다.
전체등급은 모든 기업에 동일한 등급별 절대 기준을 마련해 부여한 등급이며, 규모등급은 상대적으로 유리한 여건을 갖춘 대기업들이 높은 점수를 받는 한계를 보완해 자산 규모가 큰 기업에 더 강화된 기준에 따라 부여한 등급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