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남동발전, 2036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30% 이상으로 늘린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30330010017240

글자크기

닫기

장예림 기자

승인 : 2023. 03. 30. 10:44

신재생에너지 '비전 3630' 중장기 로드맵 수립
탄소중립 위한 신재생에너지 미래비전 제시
탐라해상풍력발전
탐라해상풍력발전 전경/제공 =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동발전은 미래성장동력과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을 선도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비전(Vision) 3630'의 신재생에너지 미래비전을 확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신재생에너지 Vision 3630'은 오는 2036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30.6%, 설비용량 8GW를 달성한다는 것으로, 이는 실현 가능한 에너지믹스를 통해 정부의 탄소중립(Net-Zero) 정책을 적극 이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비전 3630은 올해 초 발표된 정부의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된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와 연계됐다.

남동발전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발전원 중심의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신재생에너지 확보에 나선다. 이에 따라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의 핵심 역할을 하게 될 해상풍력을 50% 이상의 포트폴리오로 구성해 해상풍력 중심의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으로 국내 해상풍력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새로운 신재생 전략을 통해 남동발전은 2036년까지 28조6000억원 규모의 신규투자를 유발하고, 제조·설비 및 운영·유지 분야별 약 17만4000명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해 산업전반의 지속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남동발전은 국내 첫 상업용 해상풍력인 30㎿규모의 탐라해상풍력을 성공적으로 개발했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국내 최대 수준인 약 4.6GW의 해상풍력을 개발 중이다. 또한 취약한 국내 해상풍력 산업 기반에 제도·정책, 사업모델, 기술전반의 산업경쟁력을 키우는데도 집중하고 있다.

새만금 육상태양광(99MW)
새만금 육상태양광발전 전경/제공 = 한국남동발전
국내 최초로 해상풍력 기자재 입찰시 국산화 비율을 평가하는 LCR(Local Contents Rule)을 도입해 지난해 완도해상풍력 입찰에서 최초 적용해 3억 달러(약 3900억원) 규모의 글로벌 풍력 1위 기업의 투자 견인, 국내 공장 투자 확정으로 국내 풍력산업 활성화를 선순환 유도하기도 했다. 발전공기업 대상 LCR 선행사례를 보급·전파해 국산 기자재 사용 장려 및 산업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남동발전은 신재생에너지 사업개발 분야에서도 지역사회와의 상생 공존을 바탕으로 주민참여 제도의 현실화를 위한 제도개선에 힘쓰고 있다. 사업지 주변 취약계층 주민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실질적인 이익을 공유함으로써 에너지복지에 기여함은 물론, 신재생에너지 건설·운영 분야에서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안심발전소를 모토로 설비신뢰도를 제고하고, 설비관리운영 내실화를 통해 수익 증대를 실현했다는 것이 남동발전측 설명이다.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분산에너지 분야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실제 남동발전은 국내 기업의 RE100 이행을 적극 지원하고, 수출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자 지난해 136GWh 규모의 재생에너지 전력을 공급한 바 있다.

남동발전은 "'신재생에너지 Vision 3630'을 통해 국가적 에너지전환과 탄소중립 달성은 물론, 관련 산업의 경쟁력 확보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고흥호 수상태양광(63MW)
고흥호 수상태양광발전 전경/제공 = 한국남동발전
장예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