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은 이 기간 인공위성 발사에 따라 해상에 위험구역을 설정하겠다는 계획을 일본 정부에 전달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북한은 이 같은 방침을 국제해사기구(IMO)에도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한국, 미국 등과 협력해 북한에 강한 자제를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북한의 군사정찰위성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발사라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결의 위반이라고 항의해 왔다. 일본 방위성은 북한의 위성 발사에 대비해 오키나와현 섬 3곳에 지대공 유도탄 패트리엇(PAC-3)을 배치한 바 있다.
북한은 지난 4월 군사정찰위성 1호기가 완성됐다고 밝혔고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차후 행동계획을 승인해 조만간 위성을 발사할 것이란 예상이 나왔었다.
일본NHK는 "북한이 인공위성 발사를 통보한 뒤 발사체를 쏘아 올린 것은 지금까지 4차례 있었고, 그중 2회는 궤도에 무언가를 올렸으나 위성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방위성은 장거리탄도미사일 기술을 높이기 위한 발사였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일반적인 로켓은 악천후가 예상되면 발사에 악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북한이 기상 조건 등을 고려해 발사 일정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