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장애인인력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중증장애인 생산시설 선물세트 공공기관 판매실적 현황'을 분석해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공공기관의 구매실적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은 장애인 근로자 10명 이상을 고용하는 시설로 762개가 지정돼 1만4283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 시설들은 올 추석에는 건강기능식품, 견과류, 공예품, 농산물 가공품 등 총 179개의 선물세트를 판매하고 있다.
정부는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에 따라 매년 총구매액의 1% 이상의 중증장애인 생산품에 대해 구매의무를 부여하는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를 운영 중이다. 2022년 기준 총 1042개 정부·지자체·공공기관이 대상이다.
그러나 공공기관의 중증장애인 생산품 공공기관 판매는 2020년 설날 4억3000만원을 기록한 후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2022년 설날과 추석에도 각각 1억여 원 판매에 그쳤다.
김영주 의원은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는 장애인의 소득 보장을 돕고 사회참여를 확대해 궁극적으로 자립생활을 가능하게 한다"라며 "정부·공공기관이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에 적극나서 이들 생산품에 대한 인식개선과 명절기간 따뜻한 나눔과 가치 소비문화 확산에 더욱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이어 "최근 가치소비 문화가 활성화되고 있는 만큼 중증장애인 생산품 선물세트의 민간구매까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이들 생산품에 대한 민간 홍보·판촉 활동에도 정부가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