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북한 등 외부의 국내 여론 개입 의혹도
|
클릭응원은 다음이 로그인, 횟수 제한 없이 원하는 팀에 응원을 보낼 수 있도록 제공해온 서비스다. 하지만 전날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축구 8강전인 한국과 중국 경기 당시 클릭응원 페이지에서 중국 응원 수치가 더 높자 외부 세력의 국내 온라인 여론 개입 의혹이 확산됐다.
8강전 한중전에서 한국이 중국에 2 대 0 승리를 거머쥐었지만, 다음 응원 페이지에서는 중국팀을 응원하는 비율이 한때 90%를 넘긴 것이다. 경기가 끝날 무렵인 오후 10시께를 기준으로 클릭응원에는 중국을 응원하는 비율(클릭 수)이 55%(119만6022건)로 낮아졌으나, 여전히 한국을 응원하는 비율보다는 높았다. 반면 같은 시간 네이버 응원 페이지에서 중국에 대한 응원 비율은 10% 수준이었다.
시간대별 클릭응원 페이지의 캡처 사진이 확산되면서 포털은 물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주요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다음은 한국 포털 사이트인데 중국 응원 비율이 더 높은 게 맞는 것이냐'는 반응이 쏟아졌다. 더욱이 다음과 네이버는 각각 2019년 1월과 지난 5월부터 중국에서 접속이 차단된 상태인데 중국 응원 수가 더 많았던 것이다.
|
김 청년대변인은 "자유의 나라 대한민국에서 얼마든지 중국팀을 응원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초대형 포털에서 과반이 넘는 비율로 중국팀을 응원하는 것은, 분명 보편적인 상식과는 거리가 있는 집계"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몇 년 전부터 우리나라와 미국을 비롯한 자유진영 국가에서 의심하는 '차이나게이트'가 떠오른다"며 "중국의 시진핑 주석은 '뉴미디어 여론을 장악해야 한다', '여론전에서 승리하려면 강력한 인터넷 부대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간사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댓글 국적표기를 의무화하고 여론조작 세력을 반드시 색출해 엄단해야 한다"고 남겼다. 박 의원은 "우리나라 포털에 중국 세력이 개입한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 중국 IP를 우회해서 국내, 내부에서 작업을 하는 북한의 개입까지 의심되는 상황"이라며 "서비스를 끝내 심판하더라도 조작세력은 반드시 색출해서 법의 심판을 받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