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훈 KAMA 회장은 "유럽 등 선진시장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과 환경보호를 위한 제품 탄소규제·유해물질 규제 등을 강화해 수출 진입장벽을 높여가는 중"이라며 "수출 중심의 국내 산업계가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전문가들의 활발한 토론과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회의개최 배경을 설명했다.
강 회장은 "자동차산업의 환경규제가 제품의 원료부터 생산·사용·폐기단계까지의 온실가스를 반영하는 온실가스 규제의 도입과 유해물질 및 재활용 규제의 강화로 인해 전주기 공급망 관리를 강화하도록 변하고 있어 완성차기업 스스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LCI(환경성평가목록) 데이타베이스 고도화, 검인증제도 구축 및 국제통용성 확보 등 규제대응 인프라 강화와 중·소 소재·부품업계 등 공급망 전체의 환경규제 대응 역량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전문가들의 활발한 정책제안을 요청했다.
신호정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 실장은 발제를 통해 "이제 한국의 자동차 산업은 개별 기업보다는 산업군 측면에서 개별 산업군보다는 공급망 측면에서 대응책을 준비해야 한다"며 "이때 디지털 기술을 최대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회의에 참석한 전문가들도 자동차산업 전환기에 △전기차·수소차 등의 경쟁력을 확보 △그린전력·그린수소 등을 확보하기 위한 인프라 개선 △소재·부품업체의 생산단계의 CO2배출량·화학물질·재활용 등 환경 데이터 확보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인증체계 구축 등을 위한 중장기적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