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내년 1월 한-영 FTA 개선 협상… 신규 원전 건설 협의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31204010001167

글자크기

닫기

세종 이정연 기자

승인 : 2023. 12. 04. 09:38

231204추경호부총리-대외경제장관회의-세종청사 (3)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서 열린 '제238차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기획재정부
정부가 내년 1월 한국과 영국의 자유무역협정(FTA) 개선협상 개시를 시작으로 경제금융대화·투자협력협의체 등 정부 간 협의체를 즉시 신설해 가동한다. 또 우리 기관이 영국의 신규 원전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간 원전산업대화체도 가동하기로 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영국 국빈 방문의 경제분야 후속 조치'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후속 조치는 △교역·투자 △청정에너지 △과학기술 △개발협력 네 가지 사안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이는 지난달 윤석열 대통령의 영국 국빈방문 계기로 채택된 '다우닝가 합의'를 통해 양국 경제 협력관계 도약을 위한 발판이 마련된 것이라고 기재부는 전했다. 이를 통해 FTA 개선, 거시경제·금융·투자 협력 채널 신설 등으로 교역·투자에 탄력을 받게 됐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정부는 우선 이달 중 세부 협상분야별 우리측 협상전략을 수립하고, 내년 1월 중에 제1차 한영 FTA 개선협상을 개최한다. 특히 내년까지 상호 투자 촉진을 위한 투자채널 구축 및 거시경제·재정정책·금융이슈를 논의하는 한영 경제금융대화를 열고, 세관상호지원협정을 빠른 시일 내 발효하기로 했다. 이에 근거한 '수출입 안전관리 우수업체 상호인정 약정' 체결도 추진할 계획이다.

청정에너지 파트너십 통한 무탄소 에너지 연대도 공고화될 전망이다. 정부간 제6차 '원전산업대화체'를 마련해 영국 신규원전 건설을 협의하고, 해상풍력 국장급 협의체도 신설해 열기로 했다.

이외에도 핵심광물·공급망 협력 성과 창출도 추진된다. 핵심광물 공동 실무그룹 등 통해 정부간 공조 방안을 논의하고 공급망 다변화, 산업협력, 공동 연구 등 가시적 성과를 구체화하기로 했다. 특히 반도체의 경우 양국 정부 간 '반도체 협력 프레임워크'를 체결한다. 반도체 공급망 안정화, 인력양성, 연구개발(R&D) 협력이 이뤄질 전망이다.

신산업 유망 분야인 첨단과학기술로 협력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과학기술 분야 정부간 협력도 체계화된다. 정부는 각 분야 협력 틀을 바탕으로 '디지털 파트너십', '우주분야 양해각서', '해사분야 상호협력 의향서' 등에 기반한 정부간 협의를 추진한다. 앞서 순방을 통해 경제분야 MOU가 정부·기관 14건, 민간 31건을 합쳐 45건이 체결됐고, 영국 2개 해상풍력 기업인 코리오, 비피가 국내에 1조5000억원 국내 투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얻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방산), 효성중공업(ESS), 경동나비엔(보일러)의 수주계약도 총 2700억원 규모로 3건이 성사됐다.

'한-영 전략적 개발 파트너십'에 기반해 양국 개발금융기관 간 협력도 고도화된다. 양국 간 인적·문화교류를 확대하고, 개발협력 유상원조 분야에서 대외경제협력기금(EDCF)과 영국 국제투자공사(BII) 간 신규 협력사업을 발굴키로 했다. 한-영 워킹홀리데이 쿼터도 기존 1000명에서 5000명으로 확대하고, 장관급 인사가 중심이 되는 '한-영 창조산업 포럼'도 재개된다.

추 부총리는 "한-영간 협력 모멘텀이 가장 높은 지금, 관계부처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오늘 중 1차회의를 개최한다"며 "이를 통해 4대 경제분야 성과실현을 독려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정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