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의원은 이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와 인터뷰에서 "비명계를 퇴출 시키겠다는 의도가 작동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지금 당의 공천상황이라든지 당의 운영은 철저하게 통합과 혁신과는 정반대의 길로 가고 있다"며 "그러면 선거에서 진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당의 모든 이전의 역사에서 공천 과정에선 항상 주류가 희생하는 것"이라며 "왜냐하면 그만큼 책임이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예를 들어서 당헌 80조를 무력화시켰던 분들, 작년 갑자기 당헌·당규를 바꿔서 하위 10%에겐 30%로 감산규모를 높였던 분들, 1년 전엔 결정해야 할 룰을 갑작스럽게 바꿔나가면서 사실 본인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을 만들거나 경쟁자를 옥죄거나 죽이는 방식을 더 강화한 부분에 책임을 졌던 분들은 당연히 응당의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윤 의원은 전날(20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로 "어제 임혁백 공관위원장으로부터 (현역의원 평가에서) 하위 10% 통보를 받았다"며 "민주당을 지키려는 길이 순탄치 않으리라 각오했지만 하위 10%라는 결정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반발했다.
그는 또 "중앙당 당무감사와 의원평가에 정량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항목은 모두 초과 달성해 제출했다"며 "그런 노력에도 하위 10%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당시 윤 의원은 어떤 결과로 이러한 결과가 나왔는지 구체적인 점수를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윤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공천 과정이 공정하지 않고 특정 계파 사람들만 구제해주는 계파적 공천에 머물러 있다고 판단한다"며 "결국 정성평가에서 모든 것이 결정됐을 텐데 정성평가가 어떻게 나왔는지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