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고…중국인 비중 72.9%
|
10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의 '매매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 신청 매수인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부동산을 구매해 소유권이전등기를 신청한 외국인은 총 1만5614명으로 전체 매수인의 0.90%를 차지했다. 이는 역대 최고치 기록이다.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매수 건은 관련 통계가 제공되기 시작한 지난 2010년 4307명으로 전체 매수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20%에 불과했다.
하지만 2014년 0.33%, 2016년 0.44%, 2018년 0.64%, 2022년 0.75%로 지속적으로 늘면서 지난해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
국적별로 살펴보면 중국인이 1만157명으로 65.0%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미국 (2374명·15.2%) 캐나다(3.5%) 베트남(2.5%) 등의 순이었다.
부동산 중에서도 아파트, 오피스텔, 다세대주택, 집합상가 등 집합건물을 매수한 외국인은 1만2027명으로 전체 매수인의 1.21%를 차지했다.
2015년 0.50%였던 외국인 집합건물 매수 비중 역시 2018년 0.89%로 늘었고 2022년 처음으로 1%를 넘기는 등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 집합건물 매수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인천으로 전체 2.09%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2%대를 기록했다. 충남(1.74%), 경기(1.68%), 제주(1.53%), 충북(1.21%) 등은 그 뒤를 이었다.
외국인의 부동산 매수가 증가하면서 임대 등을 통해 수익을 내는 외국인도 많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의 '확정일자 임대인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확정일자를 받은 임대차 계약 중 임대인이 외국인인 계약은 1만7786건으로 관련 통계가 제공되기 시작한 2010년 이래 최고 기록을 보였다.
외국인이 임대인인 계약은 2019년 1만114건으로 첫 1만건을 넘어선 후 2021년 1만2256건, 2022년 1만7488건으로 급증하고 있다.
외국인이 집주인인 임대차 계약은 서울이 4612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기(3814건), 인천(499건), 충남(301건), 부산(29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