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무전공 선발’, 이과생 수시·정시 모두 유리”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609010003826

글자크기

닫기

세종 박지숙 기자

승인 : 2024. 06. 09. 12:58

종로학원 분석…'유형1' 선택학과도 자연·이공계열 집중 예상
6월 모의평가 준비하는 수험생
6월 모의평가 준비하는 수험생/연합
2025학년도부터 수도권 대학과 국립대학 73곳이 신입생 10명 가운데 3명을 자율전공(무전공)으로 선발할 계획인 가운데, 문과생보다 이과생이 더 입시에 유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종로학원은 주요대학 합격자 내신성적과 대학수학능력시험 표준점수 최고점 등을 바탕으로 추정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고 9일 밝혔다.

무전공 선발은 대학 신입생 때 전공을 따로 정하지 않고 입학한 다음 2학년 때 전공을 선택하는 제도이다. 내년도부터 모집인원이 늘어나는 무전공은 학생이 입학 후 보건·의료·사범계열을 제외한 모든 전공 가운데 원하는 전공을 택할 수 있도록 하는 '유형1'과, 학부 등 광역 단위로 입학해 전공을 택하거나 학과별 정원의 150% 이상 범위에서 전공을 고를 수 있도록 한 '유형2'로 나뉜다.

이 가운데 '유형1' 입시에서 자연계열 진학을 희망하는 수험생에게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025학년도 유형1 신설 대학은 국민대(828명), 상명대(530명), 숭실대(439명), 성균관대(280명), 한양대(250명), 서강대(157명), 고려대(131명) 등이다. 기존에 자율전공 운영하는 대학 중 유형1 선발을 확대한 곳은 경희대(72명→406명) 등이다.

종로학원은 2022학년도 수시모집 내신 합격선(대입정보포털 '어디가' 기준 70% 합격선)은 학생부교과전형의 경우 서울권 자연계열 학과의 합격선은 2.15등급인데 비해 인문계열은 2.34등급에 그쳤다. 경인 소재 대학에서도 인문계는 3등급, 자연계는 2.64등급으로 자연계 합격선이 높았다.

학생부종합전형도 2022학년도 서울권 인문계열 3.11등급, 자연계열 2.76등급으로 자연계가 합격선이 높다.

대학별 홈페이지를 기준으로 봐도 2024학년도 학생부교과전형의 경우 고려대(인문 1.50등급, 자연 1.43등급), 연세대(인문 1.69등급, 자연 1.56등급), 성균관대(인문 1.76등급, 자연 1.62등급), 한양대(인문 1.47등급, 자연 1.30등급) 등 모두 자연계열이 우세하다.

정시모집의 경우에도 수능 수학영역에서 미적분을 선택한 자연계열 수험생이 확률과통계를 선택하는 인문계열 수험생보다 높은 표준점수를 받을 수 있어 자열계열 합격생 비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내신 성적 상으로 이과생이 문과생보다 고득점자가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무전공 선발 '유형1'을 수시로 선발할 때 이과생이 문과생보다 유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수시·정시 모두 유형1은 문과 학생들이 지원하기에 부담스러운 유형이고, 결과적으로는 지원과 전공선택 모두 이과 쪽에 치우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박지숙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