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쌍용건설은 지난 13일(현지시간) 싱가포르에서 '우드랜드 헬스 캠퍼스(WHC:Woodland Health Campus)'에서 개원식을 가졌다고 15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김웅기 글로벌세아 그룹 회장 및 김기명 부회장, 김석준 쌍용건설 회장, 김인수 대표이사와 리센룽 싱가포르 전 총리와 옹예쿵 보건부 장관, 제이슨 치아 WHC 병원장 등이 참석했다.
개원식은 △기념식 △기념식수 행사 △커뮤니티 벽화 제막식 순으로 진행됐다. 리센룽 전 총리는 이 자리에서 WHC 공식 개원을 축하하며 관계자들의 노고에 감사 인사를 했다.
싱가포르 보건부가 발주한 WHC 사업은 싱가포르 북부 우드랜드(Woodlands) 지역 연면적 38만6730㎡ 규모 부지에 지하 4층~지상 7층, 8개동, 1800 병상 규모로 병상 수 기준 싱가포르 최대 규모다. 종합병원과 커뮤니티병원, 노약자 보호시설 센터, 호스피스 센터 등 첨단 정보기술(IT)이 접목된 4개의 별도 의료기관으로 구성됐다. 총 공사비는 약 1조6000억원으로, 6년 만에 준공했다.
주관사인 쌍용건설은 대우건설, 현지업체와 조인트벤처(JV)를 구성해 2018년 3월 싱가포르 내 병원공사에 강한 일본 건설사와의 경쟁에서 WHC 공사를 수주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병원 공사는 건축물 공사 중 최고 난도에 속해 수주 진입장벽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이를 시공할 기술력을 갖춘 건설사도 손에 꼽을 정도라는 게 쌍용건설 설명이다.
병원은 방마다 수술실, 병실, 진료실 등 각 공간마다 목적이 다르며 주택공사와 달리 설비, 모든 시설이 일률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WHC는 미래형 종합병원인 만큼 최첨단 의료장비가 투입되는데, 기계사양이 개섣뇔 때 마다 설계가 변경돼 모든 변화를 반영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쌍용건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BIM(빌딩 정보 모델링) 전담 팀을 꾸려 스마트 건설을 실현했다. 3차원(3D) 설계 및 VR(가상현실)을 통해 BIM을 구현해 총 5000개실에 달하는 실내 설계에 대한 정확도를 최대화하고 설계 변경도 최소화했다.
쌍용건설 관계자는 "최첨단 기술이 도입된 스마트 병원·의료시설에 대한 세계 각국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풍부한 병원시설 실적을 바탕으로 미래형 종합병원의 수주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쌍용건설은 1983년 이후 국내에서 20개 병원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해외에서 5개의 병원 시공실적을 갖고 있다. 이번 WHC 준공을 통해 전 세계에서 약 1만2000개 병상에 달하는 첨단 의료시설 시공실적을 보유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