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S에 참가하는 한국 기업들 또한 전시 준비 막바지에 돌입했다. 최첨단 기술로 무장한 글로벌 기업들 사이에서 SK그룹은 이번 CES2025를 '글로벌 협력의 장'으로 삼는다. 최태원 회장은 올해로 세번째 CES 현장에 동행해, 글로벌 기업들의 동향을 살피는 한편 파트너십 강화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가전업체, 삼성전자·LG전자는 나란히 '홈 AI을 꺼내 들었다. 집에 인공지능이 스며든 미래를 선보이는 한편 이를 모빌리티나 비즈니스 등 일상 전반까지 연결하는게 핵심이다. 특히 개인의 취향을 더욱 구체적으로 알아차도록 만든 각사 AI의 대결구도가 흥미롭게 펼쳐질 전망이다.
5일(현지시간) 업계에 따르면 미국 라스베이거스 일대에서 펼쳐지는 세계 최대 IT·가전 박람회 CES2025가 오는 7일 개막을 앞둔 가운데 기업들은 전시 준비 막바지에 돌입했다. 국내 기업들은 주로 스타트업 중심의 참여가 이어진 가운데, SK그룹은 AI 생태계 중심의 전시를 꾸렸다.
특히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올해도 CES현장을 찾아 글로벌 기업들의 기술을 직접 확인할 예정이다. 지난해에도 최 회장은 CES를 시작으로 AI와 관련 산업 생태계의 변화를 체감하고 그룹 리밸런싱의 초점을 AI로 정조준했다. 지난 한해 대폭 구조 개편을 치른 만큼 SK그룹은 이번 CES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협력을 확대해 나가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SK그룹 전시관은 SK하이닉스, SK텔레콤, SKC, SK엔무브가 함께 꾸렸다.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센트럴 홀에서 '혁신적인 AI 기술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든다(Innovative AI, Sustainable Tomorrow)'를 주제로 공동 전시관을 운영한다. SK는 전시관 일부를 회의공간으로 마련해 AI 관련 선도 기업들과의 비즈니스 미팅 및 소통 창구로 활용할 계획이다.
|
특히 양사는 모두 AI경험을 더욱 다양한 공간으로 확장해 나가는 데에 중점을 두는 한편, 더욱 세밀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AI를 꺼내들었다. '연결성'을 더욱 확장해 나가며 AI가 일상까지 스며들 미래를 제안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참가 기업 중 최대 규모의 전시관으로 주거형태에 맞는 다양한 집을 보여준다. 가족이 원하는 맞춤형 집을 AI를 통해 만들어내면서다. 핵심은 '스마트 싱스' 플랫폼의 활용성이다. 홈 AI 구현을 위해 자동으로 플랫폼에 가전제품을 연결해주거나, 제어가 가능하게 해주는 등이다. 특히 삼성 녹스 매트릭스(Samsung Knox Matrix)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기술로, 더 많은 기기가 연결될수록 보안을 강화해 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