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중기부, ‘대한민국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 사례집’ 발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13010006208

글자크기

닫기

오세은 기자

승인 : 2025. 03. 13. 12:00

제1회 대한민국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203개 기업 일·생활 균형 활용 사항 소개
1
중소벤처기업부는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경영자총협회,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와 함께 '2024년 대한민국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 사례집을 펴냈다고 13일 밝혔다.

사례집은 지난해 제1회 대한민국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203개의 기업이 운영 중인 유연근무 등 일·생활 균형 활용 사항을 소개하고 있다. 이중 중소기업을 포함해 다양한 규모·지역·업종별 25개 기업은 현장 인터뷰를 통해 이야기를 수록했다. 특히 사례집은 단편적인 제도의 소개보다는 왜 제도를 도입했는지에 대한 선택의 이유를 함께 다뤘다.

제이엔티(제조업 22명)는 유연근무 외에도 매월 1시간 조기퇴근, 생일 조기퇴근 등 휴식도 챙겨 직원들의 업무 피로도를 줄이고 효율을 높였다. 신승관 대표이사는 "기업 발전을 위해서는 직원들의 역량이 높아져야 한다"며 "직원들이 역량을 마음껏 발휘하기 위한 해답은 균형"이라고 말했다.

씨넷(제조업 91명)은 지속 가능한 성장의 방법을 일·생활 균형에서 찾았다. 엔지니어를 포함한 다양한 직군에서 유연근무를 활용해 시·공간의 제약을 없앴다. 또한 육아휴직 통합신청프로그램으로 육아휴직 외 출산휴가, 근로시간 단축, 육아기 재택근무 등의 제도를 원스톱으로 신청할 수 있다. 출산이나 입학 등 각종 축하금과 육아 지원 정보 공유도 세심하게 챙기고 있다. 류윤기 대표이사는 "직원들이 행복하게 일할 때 회사도 진정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이와즈(정보통신업 32명)는 집중근무시간 이외에는 별도의 신청이나 승인 없이 자유롭게 출퇴근하도록 하면서 그룹웨어와 업무공유시스템를 통해 업무가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 또한 예외적 상황에서 자녀 또는 반려동물과 동반 출퇴근을 할 수 있는 자녀동반 출퇴근제로 심리적 안정감과 업무집중력을 높였다. 양중식 대표이사는 "정보기술(IT)기업으로서 인간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가장 먼저 직원들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조직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오세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