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한국 기업에 조종 울리려 해…경제 망치는 정책 철회해야"
|
권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민주당이 대한민국 기업에 조종을 울리려 한다"며 "더불어민주당이 오늘 상법 개정안을 또다시 일방 통과시킨다면 국민의힘은 즉각 거부권을 건의해 우리 기업들을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 위원장은 "상법 개정으로 대한민국 기업이 글로벌 기업 사냥꾼 표적이 될 가능성도 높아질 것"이라며 "(민주당이) 기업인 정신을 말살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한국경제인협회에 따르면 행동주의 펀드 타깃이 된 한국 기업은 2017년 3개에 불과했으나 2022년 49개, 2023년 77개까지 급증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영권 위협이 상존하는 상황에 어느 기업인이 새 사업에 도전하겠나"라며 "시가총액이 작은 기업은 미래를 위한 투자와 발전 전략 수립에 쏟아도 부족한 에너지를 경영권 방어에 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입으로는 'K-엔비디아'를 외치지만 민주당이 밀어붙이는 경제 질서에서는 애당초 불가능한 일"이라며 "대한민국은 기업 할 자유가 보장된 나라가 돼야 한다. 민주당은 경제를 망치는 정책들을 지금이라도 철회해달라"고 촉구했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비대위 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해당 상법 개정안에 대해 "결국 기업이 성장해야, 돈을 많이 벌어야 주주에게 이익이 되는 건데 소송이 남발된다든지 최고경영자의 혁신적 의사결정을 저해할 가능성만 매우 높은, 부정적 영향만 높은 법안이라는 게 우리 당의 여전한 판단"이라며 "상정하면 반대할 것이고 권 위원장 말대로 재의 요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상법 개정안에는 이사가 충실해야 하는 대상을 기존 '회사'에서 '회사 및 주주'로 확대하는 내용과 함께 상장회사의 전자 주주총회 도입을 의무화하는 조항 등이 담겼다. 이에 경제계는 해당 개정안에 대해 기업 경영권 침해 소지가 있다고 반발하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