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에 이회창 꺾은 노무현 때처럼
컨벤션 효과로 '대세론 견제' 본격화
국힘 지도부도 "이번은 공통의 사명"
|
정치권에 따르면 지난 주말 사이 오세훈 서울시장과 유승민 전 의원이 경선 경쟁에서 이탈하자 보수·중도층을 중심으로 '반명 빅텐트'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빗발치기 시작했다. 리얼미터가 지난 9~11일 실시한 여론조사 가상대결에서 국민의힘 주자들은 최소 26%포인트 넘는 차이로 이 전 대표에 뒤처졌다. 이 전 대표가 여론조사에서 압도적인 1위를 달리며 대세를 형성한 부분과 맞닿아 있는 것이다. 반이재명 연대를 이뤄 이 전 대표를 압도하는 그림을 만들어야 중도층에서 더 많은 지지세를 가질 수 있다는 계산과도 궤를 같이한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 대권 주자들은 빅텐트론을 놓고 최대한 결집을 이뤄야 한다며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번 조기대선이 진영 간 '1대1 구도'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서다.
선거 구도로만 보면 양자 대결이었던 2002년과 2012년 대선을 떠올리게 된다. 2002년에는 당시 노무현 후보가 컨벤션 효과를 통해 '이회창 대세론'을 무너뜨리며 역전승을 거뒀다. 정치권에서 이 전 대표를 제외한 대권주자들이 반명 빅텐트에 합류해야 한다고 촉구하는 이유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한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제3지대 빅텐트론을 놓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다면 우리가 많은 결단을, 많은 상상을 해봐야 된다"고 말했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 선거 캠프의 비서실장을 맡은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도 "민주당은 이재명 후보가 후보로 선출될 것을 확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반이재명 모든 세력은 하나로 모아져야 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힘에서 후보로 선출되면 그 후보는 빅텐트를 쳐서 (힘을) 하나로 모아야 이게 승리를 할 것이다. 그렇게 하지 않고서는 상당히 어려운 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국민의힘 지도부도 이날 '반명' 기치를 선명하게 유지했다. 당내 경선을 앞두고 '반명 연합'이 필요하다는 점에 사실상 한 목소리를 낸 것이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대선 경선과 관련해 "대한민국을 무한 정쟁과 분열로 몰아갈 이재명 세력을 극복해야 한다"며 "우리 안에 많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번만큼은 공통의 사명"이라고 언급했다.
반면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빅텐트론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을 내놨다. 국민의힘 경선 후보가 확정되지 않았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