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신속 대응 및 확산 방지 기여"
|
이번 중장기 계획은 코로나19 대응 등의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감염병 대유행에 대비하여 비축이 필요한 의료·방역 물품을 재검토하고, 세부 운영 방안을 마련하여 위기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고자 수립됐다.
그간 정부는 감염병으로 인한 국가 공중보건 위기 상황을 대비해 비축물자 선정 및 관리 계획을 수립·운영해 왔으며, 코로나19 대응 시에도 사전에 비축된 의료·방역 물자가 활용됐다.
다만 향후 신종감염병 팬데믹 시 비축물자의 사용량 급증 가능성, 새로운 기술 개발 등 환경 변화를 고려한 비축 품목 및 적정 비축량의 재검토 등 비축 계획의 개선 필요성 등이 제기됐다.
이번 중장기 계획은 국가비축물자 전문가 자문회의, 감염병 위기관리 전문위원회 등의 자문과 의견수렴을 거쳐 확정됐으며, △신종감염병 발생 초기 대응을 위한 개인보호구 상시 비축 △중증환자 등 치료지원을 위한 의료장비 통합 관리 △주요 고위험 병원체 대응 치료제·백신 도입 및 비축 △근거 기반의 효과적 비축관리 지원체계 마련 등을 목표로 향후 5년간의 추진전략을 담고 있다.
질병청은 이번 중장기 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세부 과제별 예산 확보와 추가과제 발굴 등 효과적 이행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국가비축물자 중장기 계획 수립으로 감염병 대유행 및 생물테러 감염병으로 인한 공중보건 위기 시에 비축물자를 효과적으로 지원하여 감염병 유행 초기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감염병 확산 방지에 기여할 것"이마려 "국가비축물자의 체계적 관리로 공중보건 위기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