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아시아 국가들, 트럼프 ‘관세폭탄’에 미국산 에너지 구매로 협상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21010012468

글자크기

닫기

이경은 인턴 기자

승인 : 2025. 04. 21. 16:42

태국·인도 등, 원유 구입 확대로 흑자 폭 축소 시도
한국·일본·대만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요구
PGT20230506260001009_P4
미국 알래스카주 소도시 델타 션 근처에 있는 초대형 석유 파이프라인./AFP 연합
아시아투데이 이경은 인턴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미 무역 흑자국을 상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하자 아시아 국가들이 미국산 석유, 가스 등 에너지 구매 확대로 협상에 나서고 있다.

로이터는 21일(현지시간) 미국이 부과한 고율의 상호관세 대상이 된 아시아 국가들이 무역 흑자 폭을 줄이기 위해 이같은 대응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아시아는 공정하게 무역을 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하며 한국에 25%, 일본에 24%의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대만과 인도네시아에는 32%, 태국과 인도에는 각각 36%와 26%의 상호관세율이 책정됐다.

이에 인도네시아는 관세 협상의 일환으로 미국산 원유와 액화석유가스(LPG) 수입량을 100억 달러(약 14조1800억원)어치 늘릴 예정이다.

인도는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전부터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세 폐지를 검토했다. 발표 후에는 미국산 에탄·LPG 관세도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인도 최대 LNG 수입업체인 게일(GAIL)은 미국 내 LNG 프로젝트의 지분 26%를 매입하기 위한 입찰에도 참여하겠다고 발표했다.

태국은 5년간 100만톤 이상의 미국산 LNG를 수입하고 4년간 1억 달러 상당의 미국산 에탄을 수입할 계획이다.

미국은 일본, 한국, 대만에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알래스카 북부에서 생산한 LNG를 1300㎞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알래스카 남해안으로 운송한 후, 한국과 일본 등으로 수출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440억 달러(약 62조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에 이미 프로젝트 투자 의향을 밝힌 대만을 제외하고, 일본과 한국에서는 프로젝트 참여에 선뜻 나서지 않고 있다.

카츠야 나카니시 미쓰비시 상사 사장은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투자를 고려할 수 있지만,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 역시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참여 여부를 검토하되, 현지 실사 등을 통해 신중히 접근하겠다"고 밝혔다.
이경은 인턴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