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韓 소버린 AI 앞장’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클로바X 씨드’ 무료로 푼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23010013918

글자크기

닫기

최지현 기자

승인 : 2025. 04. 23. 15:39

23일 서울 역삼동 기자간담회 열어
자체 AI 경량모델 3종 오픈소스 공개
이르면 다음달 추론모델도 출시 예정
KakaoTalk_20250423_113431430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23일 서울 역삼동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최지현 기자
네이버클라우드가 생성형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의 상업용 오픈소스를 무료로 푼다. 국내 주요 생성형 AI 모델 가운데 최초다. 탄탄한 국내 AI 생태계를 구축하고, 더 나아가 전 세계적으로 총력전이 펼쳐지는 '소버린 AI'를 확보하기 위해 내린 결정이다. 네이버 서비스에 AI를 내재화하는 '온서비스 AI' 전략의 일환이기도 하다.

네이버클라우드는 23일 오전 서울 강남구 네이버 스퀘어 역삼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체 AI 모델인 하이파클로바X의 경량 모델 '하이파클로바X 시드'를 다음날부터 허깅페이스에 오픈소스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미지와 영상 정보 처리가 가능한 시각모델 '하이퍼클로바X 시드 3B', 지시 이행 능력이 특화된 '하이퍼클로바X 시드 1.5B', 초소형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하이퍼클로바X 시드 0.5B' 등 3종이다.

주로 연구용으로만 공개됐던 기존 관행과 달리 누구나 상업 목적으로 무료 이용이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기업 등이 GPU 리소스 부담 없이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량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한 것"이라며 "비용 부담이나 라이선스 제한 등 문제로 생성형 AI 도입을 망설였던 중·소규모 사업자 중심으로 국내 AI 생태계가 활성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네이버클라우드 테크밋업 Q&A 사진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왼쪽)와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이 23일 서울 역삼동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
소버린 AI를 구축하겠다는 방침이다. 소버린 AI란 각국 정부나 기업들이 자체 AI 기술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다. 최근 AI 기술 경쟁이 글로벌 패권 다툼으로 번지면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김 대표는 "세상이 평화롭다면 글로벌 에코시스템을 믿을 텐데 전 세계적으로 갈등이 심화하고 불확실성이 커지는 현시점 우리 스스로 AI를 운영할 역량을 갖추지 않으면 힘들어질 수 있다"며 "우크라이나 전쟁만 봐도 그렇듯 소버린 AI는 안보와 직결되는 선택이 아닌 필수의 요소"라고 말했다.

최근 KT가 발표한 MS 공동 개발 소버린 AI에 대해서 김 대표는 "외산 기술이나 제품에 단순히 상표만 붙이면서 소버린 AI라고 하는 것은 '언어도단'"이라며 "우리만의 AI를 만들고, 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 대통령 지시에 의해 국가 운명이 좌우되는 것은 주권이라는 정의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며 "진정한 소버린 AI는 우리나라에서 AI를 안정적으로 만들고 공급해 사회의 보안과 안보를 지킬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그러면서 김 대표는 "소버린 AI 구축은 국가적 차원의 총체적인 역량이 요구되는 체력전"이라며 "단일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단순히 기술 확보에 그치지 않고 일상 밀착형 AI 서비스가 나올 수 있도록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르면 다음달 하이퍼클로바X의 추론 모델도 선보일 예정이다. 앞서 이와 관련해선 고민 중이라는 입장만 확인했던 네이버클라우드가 추론모델의 오픈소스 공개를 공식화한 것이다. 해당 모델은 수학, 프로그래밍뿐 아니라 시각 및 음성 정보 처리, 자동 웹 검색, API 호출, 데이터 분석 등 기존 기능을 추론으로 고도화한 게 특징이다. 예컨대 기존에는 AI가 어떤 도구를 활용해야 하는지 사용자가 직접 지정해야 했다면, 추론 모델은 AI가 적절한 도구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최지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