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중앙회는 28일 서울 여의도에 있는 중기중앙회에서 '홍준표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와 중소기업인 대화'를 개최했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이날 "요즘 정치권이 정말 '약자를 위한 정치'를 하는지에 대해 실망과 회의감을 느끼는 국민들이 많다"며 "특히 노조의 말만 듣고 무리하게 밀어붙인 주52시간제, 최저임금, 중처법 등 3대 노동문제 때문에 중소기업인들은 '차라리 사업을 접고 싶다'고 하소연하고 소상공인들은 지난해 100만 명이나 문을 닫았다"고 말했다.
그는 "홍준표 후보는 '선진대국 시대를 여는 것이 마지막 정치적 소임'이라고 말했는데 대통령에 당선되면 3대 노동문제 만큼은 강성노조에 흔들리지 말고 반드시 개혁해 주길 바란다"며 "804만 중소기업은 보수도 진보도 아닌데 국민에게 희망을 주고 중소기업을 위해 정말 필요한 정책을 만들고 실천하는 분을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홍준표 후보는 불공정한 경제구조를 바로잡고 기득권 타파에도 앞장서 왔는데 2011년 대기업들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징벌적 손해배상제를 하도급법에 처음으로 도입해 감사패를 드린 기억이 난다"며 "덕분에 요즘 한국의 대기업들이 외국 대기업보다 협력업체와 상생을 더 잘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경남지사 시절에는 만성 적자에 시달리던 진주의료원을 강성노조와 타협하지 않고 과감하게 폐쇄하는 것을 보면서 지역 주민과 중소기업인들은 큰 박수를 보냈다"며 "앞으로도 한국경제와 중소기업을 위해 할 일은 반드시 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홍준표 후보는 "중소기업은 가업상속 때 상속세을 면제해야 한다"며 "상속세로 기업 팔고 부동산에 투자하며 건물을 사서 임대업으로 전환하는 사례가 많다"고 말했다.
그는 "홍준표 정부가 탄생하면 경제 기본원칙을 근본적으로 바꾸겠다"며 "중소기업이 기술을 개발하면 규제를 네거티브 방식으로 바꿔 절대 안되는 내용만 규제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주52시간제도 탄력적으로 해고 유연성을 완화하겠다"며 "대·중소기업의 정규직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최저임금제도는 정부가 사실상 민주노총과 정하는 구조로 가장 죽어나는 건 중소기업·소상인으로 자영업 하기 힘든 세상"이라며 "중소기업은 외국인 근로자가 대부분인데 최저임금을 지역별, 업종별, 내외국인별로 차등적용을 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최저임금구성위원회도 지금처럼 하지 않고 중소기업·소상공인 중심으로 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며 "아무 관련 없는 대기업 노조만 담당하는 민주노총 이 들어오는 건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이날 참석한 중소기업단체협의회 단체장들은 △인구위기 대응을 위한 인구부 신설 △중소제조업 부흥을 위한 대통령 직속 혁신전환위원회 신설 △중소기업 협동조합 협의요청권 등을 건의했다.